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분자생물학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새로운 생명관이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능력 등을 부여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다세포생물의 유전자를 개조하는 것은
배양
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를 포함한다.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는 개체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그것이 생식세포에서 일어나면 그 유전자는 자손으로 계승되어 자손의 몸전체를 구성하는 세포가 ... ...
교사의 적극적 실천자세가 앞서야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교육 활동을 통해 개성의 계발 및 창조적 활동을 유도하여 주체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
함과 동시에 외적인 제약 조건들에 대한 적극적 자세의 견지가 전제되어야 하겠다. 과학교육 발전에 가로놓인 제약을 그냥 제약으로만 생각, 안주하는 소극적 자세 보다는 그것을 극복의 대상으로 설정, 개선해 ... ...
생약연구의 본산, 유전공학연구까지 서울대 생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 물질이 있음을 밝혀내고 인큐베이터 속에서 조직을 세포
배양
하는 생물공학적 생산을 시험하고 있다. 유전자 공학적 방법을 도입한 것이다. 이 방법이 개발되면 넓은 인삼밭이 필요없고 4년~6년씩 기르는 어려운 재배과정이 필요없게 된다는 것이다. 짧은 시간에 ... ...
파스퇴르 종양바이러스 연구팀장 장셰르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종양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피를 뽑아 그속에 든 바이러스를
배양
하다가 독특한 성질을 나타내는 새 바이러스를 찾아냈지요. 이 바이러스를 혈액에 침투시켰더니 이것은 혈액내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중 면역세포 생산을 담당하는T세포를 공격, 파괴시켜 면역체계를 ... ...
당뇨병 완치 가능하다 세포이식의 새로운 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매우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것인데 과학자들은 이식할 세포덩어리중의 일부를 특별히
배양
하거나 산소에 노출시키거나 자외선을 쪼이는 등의 방법을 써서 항원을 무력화시켰다. (그림참조)이렇게 해서 Type I의 당뇨병은 실험실의 동물에서 대단한 성공을 했다. 또한 15명의 환자가 수술을 받았는데 ... ...
곧 「인공 씨앗」이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만들어낸 우수한 종자에 중합체 물질을 씌워 '인공씨앗'을 만드는 것입니다. 조직
배양
기술이 쉬운 일은 아니지요. 유전공학적 작업을 자동차 만드는데 비유한다면 컴퓨터 제작은 자전거 만들기와 같다고나 할까요"해외의 한국인 과학자들에게는 대답하기가 쉽지 않은 질문이지만 귀국할 의사가 ... ...
대지가 오염으로 앓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돈 한푼 들이지 않고 천연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질소고정 능력이 있는 생물을 인공
배양
하여 토양환경에서 생육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어 줌으로써 인공적으로 질소비료를 시비하지 않고도 작물을 성공적으로 재배한 예는 얼마든지 있다.생태계 균형의 감시도토양생태계의 네번째 기능은 ... ...
미생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동물사료로서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2차 대전 중에는 효모를
배양
하여 비스켓이나 식빵에 혼합하여 군용식량으로 공급한 역사도 있다. 세계적으로는 메타놀을 월료로한 균체단백질, 석유화합물인 탄화수소를 원료로 한 균체단백질을 가축사료로 사용하고 있다.미생물 균체를 ... ...
녹십자 종합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지난 81년 8월 서울 강남구 서초동에 40억원을 들여 5층건물(건평 2백50평)과 미생물 및 세포
배양
시설등 13종의 기자재를 갖추어 문을 열었다.이 연구소에서는 화학 수의학 미생물학 생화학 유전학 발효공학 화학공학 생물공학을 전공한 박사 5명, 석사 17명, 학사 28명등 모두 50명의 연구원이 ... ...
인류의 오랜숙제 해결될지도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김치는 몇달씩 싱싱함을 유지한다. 발효유 제품의 경우 우수균주를 따로 분리하여 집중
배양
한 것을 사용하지만, 김치류의 경우는 야생균에 의존하고 있어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조미료와 단백질의 원천미생물이 번식하는데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런데 영양분 특히 당분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