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방식을 알아낸 뒤 복원한 문직기를 이용해 재현했다. 심 교수는 “그간 고려나 조선
시대
옷을 재현하려고 해도 옷감은 동대문시장 등에서 구입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제는 옷감부터 당시 기술로 재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섬유공학자이자 스승인 고(故) 민길자 교수와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주화를 대대적으로 개량한 신기전이 탄생했다는 사실을 1975년 최초로 밝혔다. 세종
시대
에 제작한 우리 옛 로켓의 설계도를 찾았으니 이를 복원해서 날려보고 싶었지만 제작비가 많이 필요했기 때문에 수월하지 않았다. 그러다 1993년 대전엑스포 당시 조직위원회에 신기전 복원을 제안했고, 복원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9]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이유와 방법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한다.보편 윤리란 모든 인간과 사회에 타당한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도덕 원리로,
시대
와 장소를 초월해 모든 사람이 존중하고 따라야 할 보편적인 윤리 원칙이다. 보편적인 윤리 원칙은 ‘다른 사람의 자유를 빼앗지 말라’ ‘물건을 훔치거나 사람을 속여서는 안 된다’ ‘정의로운 법을 ... ...
[화보] 한국의 산지승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세운 화엄종 사찰이다.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몇 안 되는 고려
시대
건축물로 국보 18호로도 지정돼 있다. 무량수전은 배흘림기둥으로도 유명하다. 배흘림기둥은 허리 부분의 지름을 가장 크게 하고, 양 끝으로 갈수록 지름을 줄인 항아리 모양의 원기둥이다. 이는 멀리서 봤을 때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과 전류(A), 온도(K), 몰(mol)의 정의가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개편됩니다. 도량형은 조선
시대
나 지금이나 나라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기본 체계인 것만은 확실합니다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사극이나
시대
극에서는 아이를 낳다가 산모가 사망하는 사건이 심심찮게 등장합니다. 요즘에는 아이를 낳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기사가 될 만큼, 산모의 사망률이 많이 줄었는데요. 하지만 이런 통계에 가려진 사실이 있습니다. 임신 중에 또는 출산 후에 산모가 겪는 각종 질병입니다. 2017년을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중 하나인 ‘반코마이신’에도 내성을 지닌 세균이 1996년 등장했다. ‘슈퍼박테리아’의
시대
를 극복할 항생제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노력과 항생제에 내성을 지니려는 세균의 싸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생물의 다양성초기 지구에 등장한 생물들은 지금처럼 다양하지는 않았다. 억겁의 ... ...
Part 2. 우주공장 제품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연구하고 있지. 우주산 인공심장이 온다?!이제 곧 우주에서 온 심장을 이식 받는
시대
가 올 지도 몰라요. 미국 기업 ‘테크샷’이 2019년까지 우주에서 인공심장을 만들어내는 걸 목표로 하고 있거든요. 지구에서 3D 프린터로 인공장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수 화학물질이 들어간 바이오 잉크가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아저씨가 웃으며 말했어요.“그런데 아저씨는 우리와 같은
시대
사람인 것 같은데, 어떻게 이 게임 속에 있었던 거예요?”궁금해진 수호가 아저씨의 정체를 물었어요.“나는 이 게임 속에 10년 넘게 갇혀 있었단다….” ※ 개념 퀴즈현생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은 서로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직접 방문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대동여지도가 조선
시대
최첨단 지리정보시스템이었다면, 그 기술은 현재 어디까지 발전했을까요. 지금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이용해 불과 수십 cm의 오차로 실시간 위치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목적지까지 최단거리를 안내해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