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목소리가 담긴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제거하면, 크고 작은 주파수를 가진 파형만 남는다.
전문가
들은 잡음을 없앤 깨끗한 음질의 소리를 듣고 정확한 대화 내용을 확인하는 등 필요한 정보를 분석한다. 음성 변조 여부도 스펙트럼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변조된 구간은 스펙트럼의 분포 범위나 형태가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수중건설로봇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수중로봇 기술을 개발하는 일만큼 미래 수중로봇
전문가
를 키우는 일도 중요하다고 느꼈다”며 “앞으로도 청소년들이 수중로봇에 관심을 갖고 꿈을 키우길 바란다”고 밝혔다 ... ...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존재하는 비트코인은 과연 안전할까요? 누군가 해킹해서 조작할 위험은 없을까요?
전문가
들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해요. 바로 ‘블록체인’ 기술 때문이지요.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나눠서 거래 장부를 보관하는 기술이에요. 비트코인이 새로 만들어지거나 누군가 돈을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렇다면 이들 감귤류의 족보는 어떻게 되는 걸까. 흥미롭게도 이 질문에 대해 감귤류
전문가
들 사이에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다만 만다린(mandarin)과 포멜로(pomelo 또는 pummelo), 시트론(citron) 등 세 원종에서 다양한 감귤류가 나왔을 것이라고만 의견을 모았다. 여기에 금귤(kumquat)과 파페다(papeda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2013년에 소비된 메모리 용량의 10배에 달하는 크기다.
전문가
들은 수년 째 지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메모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리콘메모리를 대신할 완전히 새로운 메모리가 있을까. 제1 후보는 ‘DNA 메모리’첫 번째 후보는 ‘DNA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지요. 수리생물학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만큼 여러
전문가
와의 협업이 중요해요. 수리 모델을 그림이나 영상으로 나타내 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결과를 해석하려면 생물학자나 의사도 필요하지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고, 다양한 분야와 협업이 활발해지면 수학을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충돌은 초끈이론을 근원적인 물리법칙으로 받아들이면 해결된다는 것이 대부분
전문가
들의 관점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전혀 다른 수학분야처럼 보이는 소위 모듈러성정리에 연결됐듯이, 호킹이 던진 화두는 실험적 검증이 요원한 초끈이론을 검증하는 데 있어 가장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늦지도 않은 나이다. 세상의 온갖 책임과 의무를 짊어지고 있는 나이이기도 하다.
전문가
들은 일차적으로 사십춘기가 외로움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한다.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40대 1인 가구는 2005년과 2010년 조사에서 15%로 집계됐지만, 2015년에는 16.9%로 증가했다. 혼자 사는 이유는 이혼(32%)이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분야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융복합 인재만이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며 “한 분야의
전문가
이면서 동시에 다른 전공과 소통이 가능한 융합인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이 DGIST에 많이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식물은 따뜻한 봄이 되면 아름다운 꽃을 피워요. 이를 위해 혹독한 겨울 동안 털이나 기름층으로 둘러싸인 꽃눈을 키우죠. 꽃눈은 성장을 멈춘 채 겨울을 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꽃을 피운답니다. 호랑버들의 이름은 바로 이 꽃눈에서 유래했어요. 양끝이 뾰족한 꽃눈은 약간 붉으면서도 반짝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