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사지
힘
하늘지기
하늘
기지
슬기
d라이브러리
"
지기
"(으)로 총 2,03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해도 학생이 바람직한 행동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보상이 사라지면 행동도 함께 사라
지기
때문이다. 교사는 학생에게 보상 이상의 가치를 느끼게 해 줘야 한다. 수학 점수를 잘 받으면 상을 받기 때문에 수학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면, 더 나아가 수학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어야 상이 없어진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놀이와 음악, 그림으로 마음을 연다하지만 상담치료에도 한계가 있다. 대화만으로 이뤄
지기
때문에 내성적인 환자는 생각과 감정, 과거의 상처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의사가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우려 때문에 솔직히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정신과에서는 놀이와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뉴저지공대와 함께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
지기
’(K-SRBL) 개발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우주환경정보 서비스를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김연한 그룹장은 “지난 9월 9일 우주환경 정보를 이용하고 있거나 잠재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들을 모아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철 원자 사이에 탄소가 끼어들어 단단하게 결합하는 ‘마텐자이트’ 상태가 만들어
지기
때문이다.희소금속은 IT혁명을 겪으면서 사용이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다. 희소금속을 쓰면 다양한 물질의 특성을 원하는 대로 조종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 화학 전문가들은 너도나도 희소금속에 눈을 돌렸다.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하면 괜찮을까? 냉장고에서 반찬도 꺼내야 하는데, 나 때문에 냉장고가 이상해
지기
라도 하면 냉장고 안 음식이 모두 상할텐데. 세탁기와 진공청소기도 써야 하는데 모두 전자제품이네….’전기밥솥에는 쌀의 종류나 원하는 밥의 종류에 따라 시간과 압력을 조절하는 반도체 칩이 들어 있다. 이 칩은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러니까 셈만 잘 하면 어떤 것이라도 만들 수 있는 거야.’지오는 산학이 신비롭게 느껴
지기
까지 했다. 어쩜 산학이란 옛날이야기 속에 나오는 산신령의 도술법이나 요술법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임금과 황산사가 산학을 발전시키려고 애쓰며 연월기를 만들려는 이유도 알 것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없을까? 또 쓰는 도중에 풀이 묻으면 그 풀이 다른 종이와 도구에도 묻어서 작품이 더러워
지기
일쑤야. 바로바로 끈적임을 없앨 수는 없을까?해결딱풀의 뚜껑을 딱풀 본체와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뚜껑 부분을 일체형으로 만들었어. 또 뚜껑이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뚜껑에 홈을 파고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계속 질문을 던지고 답을 받는 방식으로 일을 처리한다. 이 과정이 워낙 빠르게 이뤄
지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과정이 숨어 있다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한다. 어떤 조건에서 예를 선택하면 A로 이동하고, 아니오를 선택하면 B로 이동하라는 식의 ‘이상형 찾기’같은 게임처럼 끊임없이 질문과 답을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병사를 도우며 기관총과 미사일로 적을 공격하게 된다.인간과 로봇의 연계작전이 중요해
지기
때문에 ADD는 군인들을 위한 첨단 장비도 개발하고 있다. ADD가 2008년 발표한 ‘미래병사체제’에 따르면 한국 군인들은 앞으로 1~2년 사이에 ‘통합모듈형’ 장비를 공급받게 된다. 열화상과 데이터 송신이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
지기
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리는 천체관측자들의 모임인 야간비행(www.nightflight.or.kr)에서 원정대를 조직했다. 2명의 천체사진작가가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