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스위스 연구팀이 지진 발생 시 뒤따라오는 지진이 얼마나 강력할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취리히연방공대 ... 결과, 95%의 정확도로 뒤따라오는 지진의 규모를 예측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0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606-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녹내장 해결의 실마리 찾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위험 요소와 원인을 좀 더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연구가 9월 14일 미국생리학회(APS)
학술
대회에서 발표됐습니다.녹내장은 눈에서 대뇌로 시각정보를 전달하는 시신경이 손상되는 질환 중 하나로,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병입니다. 하지만 말기까지 환자가 느끼는 증상이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한계에 가까운 근육 수축 속도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실험생물학저널’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242/jeb.19870 ... ...
[과학뉴스] 운동 중 뇌진탕, 증상 사라져도 안심 못 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장기와 회복 패턴이 다르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뉴롤로지’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212/WNL.000000000000852 ... ...
[과학뉴스]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있던 얕은 호수가 증발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지구과학’ 10월 7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61-019-0458-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멀기 때문이다.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는 이런 내용을 실험으로 확인하고 2017년 국제
학술
지 ‘셀’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16.12.036 韓, 인간화된 돼지에서 인간 면역세포 생산국내에서도 키메라 배아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건국대 인간화돼지연구센터는 올해 5월 14일 사람의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구조를 띠더라도 산소 분자와 결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결정 구조 분석을 통해 밝혀 국제
학술
지 ‘네이처’ 2011년 10월 26일자에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38/nature10535철은 자연계에서 질소를 암모니아로 만드는 효소의 역할도 하고 있다. 자연뿐만 아니라 인공적으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대표적인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는 별이 죽어가는 단계인 중성자별(PSR1257+12)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355145a0 그리고 3년 뒤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연구원의 논문이 역시나 ‘네이처’에 게재됐다. 두 논문 모두 ‘네이처’에 실렸지만, 학계의 과학적 관심도를 보여주는 논문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감지하는 센서 여러 개로 사람처럼 촉감을 느끼는 전자피부를 개발해 나노기술 분야 국제
학술
지 ‘스몰’ 8월 16일자 표지논문으로 실었다. doi: 10.1002/smll.201901744 ▲ 이번 영화에 등장한 T-800(오른쪽)은 제작된 지 오랜 세월이 지나 피부가 자글자글한 것이 특징이다. 관전 포인트 2 Rev-9는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방법을 제안했다. 이 내용은 5월 4일 열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최고권위 국제
학술
대회인 ‘CHI 2019’에서 발표됐다. doi: 10.1145/3290605.3300790이 교수팀은 ‘플래피 버드(Flappy Bird)’라는 모바일 게임에 이를 적용했다. 플래피 버드는 2013년 출시 직후 100여 개 국가의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1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