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뉴스
"
인류
"(으)로 총 3,61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우주개발, 뉴스페이스 아직 아냐...접근방식 다변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1kg이 채 되지 않는 초소형 위성 개발도 활발하다. 과거 우주 탐사가 국력을 겨루거나
인류
의 호기심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뒀다면 이제는 경제적 이득을 따지는 '우주가 돈이 되는 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10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개최한 제149회 수요포럼에서 발제자인 황진영 ... ...
최영기 바이러스기초연구소장 "과학방역 토대는 기초연구 축적"
동아사이언스
l
2022.08.08
유형을 정하면 해당 바이러스 항원을 겨냥한 백신을 제조해 보급하는 것처럼 코로나19도
인류
와 공존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기초연구와 임상연구가 오랜 기간 진행돼 데이터가 축적돼야 가능한 시나리오다. 최 소장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늦었지만 다양한 백신 기술을 확보하고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 이후 올해 전세계 달 탐사 잇따라
2022.08.05
유럽 일본 인도 참전하며 2000년대 들어 다시 활기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장면. NASA 제공
인류
의 달 탐사는 1959년 구 소련이 달 탐사선 루나 1호로 세계 최초로 달 근접 비행에 성공하며 불이 붙었다. 구 소련과 미국을 중심으로 달 탐사 경쟁이 격화됐다. 구 소련은 루나 프로그램을 가동해 1959~1976년 ... ...
[한국 첫 달궤도선] 구이디 NASA 부국장 "다누리 성공할 것...우주탐사에서 한국과 협력 분야 많아"
2022.08.04
것이다. 한국이 착륙선을 만든다면 달의 극지방 탐사를 하기를 제안한다." Q 극지방에
인류
를 위한 충분한 물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아직 모른다. 현재로선 극지방에 물이 있어 보인다. 아마도 얼어 있거나 다른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앞으로 그것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Q 한국이 심우주 ... ...
5일 발사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 전세계 관심받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만들 예정이다. ● 달 뒷면 입자 크기 세계 최초 조사 항우연 제공 다누리에는 또
인류
가 보낸 달 궤도선 가운데 처음으로 광시야편광카메라인 '폴캠'이 실린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폴캠은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인 편광을 활용해 달 표면의 입자 크기나 티타늄 분포를 확인하는 데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이론가와 실험가의 대화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교수는 마지막으로 "우리는 기초물리학 발전에 특별한 기로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인류
가 오랜 시간 물리학을 발전시키면서, 이제 자연에서 보이는 대부분의 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갖추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LHC로 가장 작은 거리에서부터 우주 전체의 크기까지 조사할 수 있게 됐다"고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가장 큰 현미경으로 가장 작은 것 분석하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양성자의 1000분 1에 불과하지만 전자와 물질을 이루는 기본입자인 쿼크도 밝혀졌다.
인류
가 더 작은 세계를 보면서 척도도 더 정교해지고 있다. 원자 척도가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를 쓰는데 쿼크와 전자는 nm보다 훨씬 작기 때문이다. 입자를 구성하는 더 작은 입자가 밝혀지면서 이들 사이에 ... ...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2022.07.30
하면 더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까 고민했다. 우연히 원자력공학 수업을 들었다. 공학으로
인류
에 기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업은 생각보다 적성에 맞았다. 당시는 2010년. 소위 언론에서 말하는 ‘원전 르네상스’ 시기이기도 했다. 이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계통에 대해 연구하게 됐다. ... ...
내달 2일 우주망원경 전문가와 소행성 충돌 연구자들 부산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생성 초기 모습을 선명한 이미지로 선보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프로젝트 과학자,
인류
최초로 블랙홀 주변을 영상화하고 블랙홀의 실체를 공개한 사건 지평선 망원경(EHT) 국제연구단 교수,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브라이언 슈미트 호주국립대 교수 등 세계 천문학 연구를 이끄는 ... ...
'가이아 가설' 창시자 제임스 러브록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2.07.28
지나치게 서정적이라며 무시했었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지구온난화, 플라스틱 쓰레기 등
인류
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다시 주목받았다. 이제 그의 가설은 많은 기후과학의 기초가 됐다. 2018년에는 팀 렌턴 영국 엑서터대 지구시스템연구소 소장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인간이 만든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