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랑스에 2019년 11월부터 코로나 존재…중국 보고보다 앞서"
연합뉴스
l
2021.02.12
루이 전염병 및 공중보건 연구소(iPLESP)의 파브리스 카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 6
일자
로 유럽역학저널에 기고한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코호트 사업 일환으로 확보한 혈액 샘플 9천144건을 분석한 결과 2019년 11월∼2020년 1월 사이 채취한 13건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확인할 수 ... ...
[랩큐멘터리] 전신 순환하는 면역세포에서 희망을 길어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증명한 것이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인터넷판 2021년 1월 18
일자
에 발표됐다. 면역학을 제대로 연구하려면 생명공학 분야 지식과 기초적인 의학 지식을 익히고 동물 실험도 자주 해야 한다. 이승우 교수는 포스텍이 국내에서 면역학 연구에 필요한 기반 시설이 잘 갖춰진 ... ...
미세먼지 원인 효과적으로 없애는 촉매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김도희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미세먼지연구센터 연구팀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사진은 연구에 참여한 김도희 ... 결과"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인터넷판 2월 10
일자
에 실렸다 ... ...
“화이자 백신, 영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감염 막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09
변이 바이러스에 중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8
일자
에 발표했다. 영국과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는 ‘N501Y’ 변이가 일어났다. N501Y는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침투한 뒤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때 사용하는 돌기 형태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가장 끝단에 나타난 ... ...
"서울, 세계 81개 대도시 중 3번째로 이산화질소 배출량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국제학술지 ‘리모트 센싱 오브 인바이런먼트(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지난해 12월 17
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 내용은 3월 1
일자
저널에도 실린다. 대도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광범위하게 조사한 결과가 나온 건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NASA가 운용하는 이산화탄소 관측 위성인 ... ...
성균관대팀, 차세대 태양광 소재로 마찰 직류 나노발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박남규 교수.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는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활용해 직류 마찰 발전기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마찰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 ... 부피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 1월 5
일자
에 발표됐다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남아공 변이에 효과 10%불과"…백신 전략 새 변수 떠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로렌스 영 영국 워윅대 교수는 ‘영국의학저널(BMJ)’ 5
일자
에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는 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된 사람들의 재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E484K 돌연변이가 면역 반응을 약화시키고 중화항체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살아 있는 상태 그대로 세포 촬영하는 기술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진이 살아있는 세포를 있는 그대로 촬영할 수 있는 나노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폐암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및 화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메소드’ 4
일자
에 실렸다 ... ...
빨강·초록·파랑 가시광선 조절하는 투명 실리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투명한 비정질 실리콘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29
일자
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빛은 굴절률이 높을수록 많이 휘어지기 때문에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용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때 굴절률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는 게 유리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굴절률 물질은 빛 ... ...
액체도 고체도 아닌 새로운 물질 상태 발견
과학동아
l
2021.02.07
고체의 중간 성격을 띠는 물질 상태를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플라스틱(PMMA)으로 모양이 타원체인 콜로이드 입자를 만들었다. 보통 콜로이드의 특성을 연구할 땐 구형의 입자를 사용하지만, 고체 유리와 같이 독특한 물질의 상태를 연구하기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