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뉴스
"
한쪽
"(으)로 총 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글래스 뛰어넘는 ‘케이-글래스2’
2015.03.10
1월까지 한시적으로 판매한 ‘구글 글래스’처럼 안경을 닮은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다.
한쪽
눈만 가리는(단안식) 구글 글래스와 달리 케이-글래스2는 양쪽 눈을 모두 가리는 형태(양안식)다. 해상도는 HD급으로 640×480 해상도인 구글 글래스보다 높다. 케이-글래스2는 안경에 직접 손을 대거나 구글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젖에는 이런 구조적인 딜레마를 해결한 절묘한 ‘구조’를 한 분자가 들어있다.
한쪽
은 물과 친하고 다른 쪽은 기름과 친한 구조를 한 인지질이나 단백질 분자다. 결국 젖은 표면이 이런 분자들로 덮인 작은 유지방 방울이 분산된 액체가 됐다.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다(A). 그런데 막대로 세게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발표에 대해서 마이클 예 교수님이 한 말씀 해주시겠어요?” 질문이 나오자 교실
한쪽
벽 대형 스크린 속에 있던 얼굴이 말을 하기 시작했다. 마이클 예 교수는 이날 화상대화 서비스를 이용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수업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터치스크린을 써가며 유창한 영어로 발표를 했다. ... ...
2㎛ 몸 속에 2mm 염색체, 어떻게 들어있을까
2015.02.23
몸을 최대한 응축시키는 ‘디플리션 효과’를 확인했다. 복잡한 방 안에서 탁자 등을
한쪽
벽으로 밀어 붙여 가족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도록 공간을 넓힌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성과를 박테리아의 분열 및 증식 과정에 관련된 의문을 해결하는 이론적 단초를 제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우연의 곱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1월 2일자 논문의 저자인 토마세티와 보겔스타인은
한쪽
반 분량의 답신에서 “이번 논쟁은 ‘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의 원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놓고 벌어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서 “환경 요인, 유전 요인과 함께 세포분열과정에서 임의로 ... ...
이름은 들어봤나? ‘핫 전자’라고
2015.02.15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다이오드는 핫 전자를 붙잡는 역할을 했다.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의 성질을 이용해 핫 전자가 흩어져 사라지는 대신 다이오드를 따라 일방통행으로 움직이게 하고, 이 때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한 것이다. 이를 이용해 연구팀은 촉매 ... ...
[직접 가봤습니다, ‘제2 롯데월드’ 96층] 안전성 문제 없나
2015.02.06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꼭대기보다 더 높이 올라온 셈이죠.” 신 교수가 건물
한쪽
에 있는 기둥을 가리켰다. 작은 안테나처럼 생긴 장치가 붙어 있었다. ‘ACP(Active Control Point·능동형기준점)’로 불리는 위성 측량 수신기다. 신 교수는 “ACP는 우주에 떠 있는 4대 이상의 인공위성에서 위치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5, 0.5) 지점의 왼쪽상단 어딘가에서 만나다. 그런데 곡선이 대칭일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한쪽
이 치우칠 경우는 적중확률과 특이도가 같은 값일 때가 최적의 역치가 아닐 수도 있다. 적중확률과 특이도를 대등하게 취급했을 때 수신자조작특성곡선에서 최적의 역치를 찾는 방법은 크게 세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위해서는 땅에 깊이 30~300m, 지름 7~8cm 정도의 시추공을 20~30m 간격으로 뚫는다.
한쪽
시추공에 전파 발생 장치(송신기)를 집어넣고, 옆 시추공에 전파 감지기(수신기)를 넣는다.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가 받아 분석해 땅굴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하는 전파는 40~100메가헤르츠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2015.01.07
KAIST 물리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조 교수는 반도체 나노구조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만 빛을 전달하는 다이오드, 초고속 단일 광자 발생기, 형광체 없이 다양한 빛을 내는 발광소자 등 기존 방법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신개념 광원과 광제어 기술을 독창적으로 구현한 업적을 인정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