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스페셜
"
년
"(으)로 총 7,79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존 천문관측 사진과 클라우드 컴퓨팅만으로 킬러소행성 100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새로운 소행성이 확인됐고 그 결과를 소행성 센터의 소행성 등록부에 추가했다. 1947
년
에 설립된 소행성 센터는 소행성, 혜성 및 기타 태양계의 천체 목록을 작성하는 책임이 있는 조직이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교한 계산을 수행하는데는 구글 클라우드가 사용됐다. 알고리즘을 ... ...
미 CDC "롱코비드 사망 의심 사례 120건 조사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있다"며 "구체적인 숫자는 곧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수
년
~수십
년
후 롱코비드가 글로벌 보건문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직접적인 증상뿐 아니라 간접적인 요인이 오랫동안 남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코로나19의 유행이 ... ...
한국 첫 우주탐사선 '다누리' 기획부터 발사까지 15
년
"이제 준비는 끝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기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해 목표 지점인 달 고도 100km 원궤도에 진입한 뒤 1
년
간 과학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다누리의 핵심 임무는 2030
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항우연이 개발한 고해상도 카메라 ‘루티’가 착륙 후보지 49곳의 약 90%에 다하는 4 ... ...
WHO “원숭이두창 감염자 일주일 전보다 3배 늘어"…27개국서 780건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더 확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원숭이두창은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1958
년
원숭이 연구자들이 처음 발견했다. 이후 1970
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인간 감염 사례가 최초로 확인됐다. 아프리카 중부와 서부에서 주로 확진자가 발견돼 왔다. 사람이 걸리는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더 ... ...
[표지로 읽는 과학]마야의 천문 지식을 발굴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마야의 비문에서는 후기 마야인들의 천문학적 지식들이 발견된다. 마야인들은 기원후 1000
년
부터는 보름달의 날짜를 계산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온두라스 코판에서 발견된 판화에서는 현대 달력 기준 29.53일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는 달을 30초 단위로 세세하게 추적하기 위한 공식을 기록한 ... ...
비대면 끝내고 다시 얼굴 마주 한 과학자들
2022.06.05
설비를 구경하고 있다. 한상민 기자=prizemin@donga.com 산업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지난 2
년
간 코로나19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됐다. 기업의 규모에 따라 재택근무도 양극화됐다. 지난해 11월 취업 포털 사람인이 60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기업의 56.8%가 유연근무제를 ... ...
학교 주변 교통 소음 클수록 학생들 인지력 발달 속도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느려 더욱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발달도 소음이 5dB 증가하면 4.8% 느렸다. 1
년
간 관찰했을 때 소음 평균이 높은 것 외에도 소음 변동이 큰 것도 인지 발달 저하와 연관이 컸다. 평소에는 소음이 적다가도 비행기가 날 때처럼 갑자기 큰 소리가 간헐적으로 나는 경우도 인지 발달에 ... ...
7월12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우주카메라가 찍은 사진이 공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에릭 스미스 NASA 제임스웹 프로그램 담당 과학자는 “처음 공개하는 이미지는 수십
년
동안의 헌신과 열정, 꿈의 결실이지만 시작에 불과할 것”이라며 “인류가 전에 본 적이 없는 독특한 순간에 감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임스웹에 달린 거울과 장비가 보정되고 테스트가 이뤄지면 ... ...
지구 온난화로 백색 알프스가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교수 연구팀은 알프스 지역을 위성 사진으로 분석한 결과 알프스 지역의 식생면적이 1984
년
이후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산악 지역은 세계 평균보다 약 2배 빠른 속도로 뜨거워진다. 알베도 현상 감소 탓이다. 알베도는 물체에 입사한 빛 대비 ... ...
[논문감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
과학동아
l
2022.06.04
학술지도, 논문의 저자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청소
년
연구활동 보고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2206N038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