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뉴스
"
지금
"(으)로 총 10,350건 검색되었습니다.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15
할 수 있고 또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면서 “나중에 커서 해야겠다고 생각하지 말고
지금
바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김인규, 최은영, 현수랑 기자 제공 이제는 직접 펜 건강검진을 하는 시간. 건강검진을 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펜이 쓸 만한 것인지 또 잘 나오는지 종이에 써 ... ...
[영상]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06.15
사람이 주체와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죠. 그럼
지금
부터 영상을 통해 간지러움의 비밀에 대해 함께 파헤쳐봅시다! (*영상제작: 제다이) ... ...
[WWDC16 ②] 마침내 제옷을 입은 웨어러블 기기, 애플워치와 워치OS
2016.06.15
막 8개월이 된 신생 플랫폼이다. 그래서 아직 2.0같은 큰 판올림은 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그 사용성을 가다듬어야 하는 시기임에는 분명하다. 최호섭 제공 TV를 둔 애플의 메시지는 아주 단호하고 명료하다. “TV의 미래는 앱에 있다”는 것이다. 그건 게임이 될 수도 있고, 방송이 될 수도 있다. ... ...
외투는 더우면 벗는다: ‘자연스럽게’ 행동할 때 반응하는 디자인
2016.06.15
문고리 부터가 행동유도성을 위배하는 게 우리가 처한 우울한 현실이다. 당신이
지금
만드는 그 상품은 과연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고 있는가?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기 전에 한번 만이라도 고민해 보자. ※필자소개 김성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인터랙션 ... ...
그래핀 대체할 2차원 고분자 나온다
2016.06.14
높지 않았다. 또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2차원’ 평면 상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
까지는 ‘선’ 형태로만 존재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2D PANI’는 선 형태의 폴리아닐린보다 전기전도성이 100억 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염화수소(HCI)로 도핑하는 공정을 거친 ... ...
“양자 컴퓨터 실용화 길 열렸다”
2016.06.14
기본 원리인 전자의 스핀현상을 구현하기 쉬워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
까지는 위상절연체 표면의 전자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를 높이거나 흡착제 등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하지만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에너지가 많이 필요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진은 ... ...
AI에 빠진 토요타 사장 "매일 미래에 도전하는 기분"
포커스뉴스
l
2016.06.14
사장이 직접 영입한 토요타 수석기술자문역이다. 두 사람이 매일 미팅을 가질 만큼
지금
은 각별한 사이가 됐다는 게 하시모토 부장의 귀띰이다. 프랫 박사는 MIT에서 전기공학과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MIT와 올린공대에서 교수를 지냈다.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기획청에서 로봇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새로운 물성을 지닌 화합물이 나와야 한다. 원시 사회로 돌아갈 생각이 아니라면
지금
보다 나아지기 위해서라도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려는 노력을 계속돼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노케미족들을 두고 ‘빈대 잡겠다고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라고 말할 수만도 없다. 옷은 천연섬유만 입고 ... ...
토요타 하이브리드 첨병 PEVE社…20년간 리콜 '제로'
포커스뉴스
l
2016.06.13
고 소개했다. PEVE 종업원 수는 프리우스 1세대 생산에 나선 1997년 당시 200명에서 시작해
지금
은 3700명을 넘어섰다. 하이브리드차 누적 판매량도 20여년 만에 900만대를 돌파했다. 이 회사는 2014년 회계연도 기준 매출액 1430억엔(약 1조5500억원)을 기록했다. 일본 PEVE(프라임어스 EV에너지 주식회사)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것이다. 그러나 호킹 박사는 이 같은 ‘노-헤어(No-hair) 이론’을 일찌감치 부정했다.
지금
으로부터 40년 전인 1976년 그는 블랙홀이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수식으로 증명해 보이며 “고전역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랙홀에서 물질이 거꾸로 새나가기 시작하다가 어느 순간에 이르러서는 ... ...
이전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