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다른 미래 식량 후보인 배양 고기와 스피루리나에 대해 알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6학
년
생명의 연속성, 균류 5. 수업 지도 순서곤충을 먹어본 적이 있는지, 곤충식량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을 통해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한다. ▶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질 수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별명까지 얻었지요. 그래서 유엔 국제식량기구(FAO)에서 약 40
년
전인 1974
년
에 스피루리나를 미래 식량으로 지정했답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건강식품으로 스피루리나 가루나 캡슐을 이용하고 있죠.그런데 스피루리나가 속한 시아노박테리아는 독성물질을 만들어낸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직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만든다는 사실이 차츰 밝혀졌지요.그러나 포도당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20세기인 1945
년
에 멜빈 켈빈(오른쪽 사진)에 의해서 밝혀졌어요. 켈빈은 이 공로로 1961
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답니다. 태양전지기술과 촉매를 이용한 인공광합성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화합물은 인간에게 아주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말라는 이야기로 강연을 시작하셨어요.“기생충은 사람을 잘 죽이지 않아요. 최근 55
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기생충 때문에 죽은 사람은 회충 1063마리에 감염됐던 소녀 단 한 명뿐이에요.”회충 한 마리는 영양분을 조금 빼앗아먹지만, 이 소녀 몸 속의 회충 1063마리는 하루에 쌀 1063톨을 빼앗아 먹은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모르는 박쥐의 공격법과 나방의 방어법이 있을 수 도 있지요. 나방과 박쥐는 지난 6500만
년
동안 밤하늘의 공중전을 벌였지만, 아직도 흥미진진한 경쟁을 하고 있답니다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도 오로라가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LSRJ 1835+3259에서도 오로라 현상이 있을 거란 증거를 모았어요.할리난 교수팀은 2000
년
에 처음으로 이 갈색왜성에서 전파가 방출되는 것을 감지했어요. 그런데 보통은 갈색왜성이 전파를 거의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큰 의문점으로 남아 있었죠. 그러던 중, 2006
년
연구팀은 이 전파가 오로라를 갖고 있는 ... ...
10
년
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발견되는 혜성들은 대부분 카이퍼 벨트에서 온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내
년
부터 본격적으로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는 뉴호라이즌호가 태양계 생성의 비밀과 혜성의 기원에 대한 비밀을 풀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인터뷰처음 본 명왕성 대기는 눈부시게 아름다웠어요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딱딱하게 고형화한 뒤, 5~10
년
간 천천히 녹으며 분뇨를 깨끗하게 처리하도록 했어요.Q 35
년
이나 똥 처리 연구를 하실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요? 똥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그대로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어가요. 그럼 물이 오염돼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없겠죠. 수질 오염을 막고 환경을 지키고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번식한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답니다.매미가 많은 지역은 매미의 출현도 빨랐다지난 2012
년
시민참여과학의 일종인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매미를 탐사하면서 말매미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어요. 그 해 여름 말매미의 출현이 서울에서 시작돼 수도권과 전국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이안에 따르면 수백 미터 거리까지 하늘에 거미줄이 쳐져 있었다고 해요.한편 2012
년
에 와가와가 지역에서 관찰된 유사비행은 다른 이유 때문이었어요. 당시 와가와가 지역에는 큰 홍수가 났어요. 마을을 가로지르는 머럼비지 강이 범람을 걱정할 정도로 수위가 높아져 약 8000명의 주민들이 ... ...
이전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