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양극에서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이른 봄 화성에서는 극을 중심으로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축소되며 많은 구름이 발생한다 늦여름이 되면 극관은 거의 완전히 없어져 버리고 겨울이 되면 극지가 안개로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 ...
PART1 미국과 유럽, 행성탐색전쟁 선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알 수 있다.과학자들은 코로트가 2년 반 동안 대략 12만개의 별을 감시해 지구보다 약간
큰
외계행성 60~240개를 발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정도면 그 중 생명체 존재가능영역에 위치한 ‘제2의 지구’를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엽록소 분자가 생명체 존재 증거?코로트 위성을 발사한 유럽에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계산시간이 24시간을 넘는다면 그 결과는 무용지물이다. 그러므로 현실적으로 비교적
큰
격자 구간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구간의 크기가 커질수록 예측 결과는 부정확해진다. 게다가 불안정해지기도 하는데, 초기 조건이 조금만 달라져도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오차가 커지는 나비효과를 떠올리면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보는 일은 물론, 문서 작업을 하고 영화를 볼 수 있다.여기에는 입출력 기술의 발전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기술이 휴대전화의 입출력 장치에 적용되면 가상 키보드나 가상 마우스, 가상 디스플레이를 쓸 수 있다.또 휴대전화에 다양한 센서를 달면 생체리듬을 체크해 이상이 ... ...
알약으로 치매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있다. 젊은이들이 지속적으로 BT-11을 먹으면 기억력 항진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서 교수의 설명이다. 서 교수가 BT-11을 시판 절차가 긴 의약품이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 내놓으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치매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하루라도 빨리 열겠다는 ... ...
2007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로 오라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공부하며 과학탐구에 재미를 붙였다”며“이때 배운 내용이 그 뒤학교 공부를 할 때도
큰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올해 IJSO는 대만의 타이베이에서 12월 2일~11일까지 10일간열린다. 김교수는“4월22일국내에서 예선전을 치른뒤12명을 선발해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에 출전시킬 ... ...
'과학'과 '쇼핑몰'의 환상궁합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고민을 해봤을 것이다. 실제로 원리를 이해하며 즐기는 놀이는 어린이의 인지발달에
큰
도움을 준다.스위스의 아동발달심리학자 장 피아제는“어린이들은 놀이를 통해 환경에 적응하는 법을 배운다”며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학부모들의 이런 고민을 동아사이언스 쇼핑몰에서 해결할 수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중수는 정성적(定性的)인 성질에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 ...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퇴’(砂堆)가 된다. 또 어느 순간 납작 엎드려 ‘평탄하상’(平坦河床)이 됐다가
큰
모래언덕인 ‘역사퇴’(逆砂堆)를 쌓기도 한다.홍수 다스리고 물고기 품어주고강마다 물 흐름뿐만 아니라 모래의 양과 질도 다르니 모래톱 모양도, 그곳에 둥지를 틀고 사는 생명도 각양각색이다.백사장에는 ... ...
암호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만드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강한 방패를 뚫기 위한 창도 속속 개발되고 있는데, 아무리
큰
수라도 소인수분해를 척척 해내는 양자컴퓨터가 2020년경이면 등장할 전망이다. 한가지 확실한 점은 새로운 암호를 만들고 푸는 과정에서 인류의 과학기술이 한걸음씩 진보한다는 사실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