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d라이브러리
"
논리
"(으)로 총 1,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손암 정약전(1758~1816)이 저술한 ‘자산어보(玆山魚譜)’다. 이 책에도 보르헤스와 같은 비
논리
적인 분류가 등장한다. 과연 우리는 자산어보의 분류법으로 근대적 생물학의 분류체계가 지닌 틈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가늠할 수 있을까. 유배지에서 탄생한 생물보고서 정약전이 181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생각했다. 이는 신의 섭리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수학은 종교가 바라보는 동일한 대상을
논리
의 눈으로 바라보면서 발전했다. 이번 호에서는 자연과 사회가 어떻게 수학의 대상이 됐는지 살펴보자.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만약 당신이 수학을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은 일대일대응처럼 기본 원리를
논리
적으로 순서에 맞게 적용하는 것으로 요리책을 보고 요리를 만드는 일과 똑같다.이것만 할 줄 알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③-사전에서 단어 찾기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때 우리는 앞쪽의 자음과 모음부터 하나씩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안에서 논제를 출제하고 있다. 과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고 근본적인 능력인
논리
적 추론능력과 자연계의 언어라 할 수 있는 수리정보에 대한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한양대 논술시험의 목표인 셈이다. 따라서 한양대 논술은 먼저 시험의 분위기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기출문제를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합리적으로 볼 수 있는
논리
를 제공해 준다. 더 나아가 수학을 이루는
논리
를 알고
논리
적으로 생각할 줄을 알게 된다면 수학 그 자체가 매우 즐거워질 것이다. 그러니 친구들! 즐거운 마음으로 수학을 공부해 보길 강력하게 권한다. 수학 때문에 세상이 즐거워질 것이다~!자동차? 비행기? 어떤 게 더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크기가 100만 배 정도 큰 mm 수준에 이르기 때문이다.함 교수는 “우리 연구단이 개발한 광
논리
소자는 EIT 효과로 생긴 느린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빛이 흡수되지 않아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이 필요 없다”며 “게다가 느린 빛을 이용하면 필요한 전력량을 100만 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일어나 자신이 꾼 이상한 꿈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이상하고 황당하면서도, 수학적인
논리
가 숨어 있는 세계를…. 여러분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다시 읽어보세요. 그 속에 숨어 있는 수학을 알면 오래된 명작 소설도 색다르게 보일 거예요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단어는 라틴어의 ‘logos’(로고스)에서 왔다. ‘logos’는 이성, 생각 등을 뜻하는 단어다.
논리
란 인간의 이성, 생각을 통해 이치에 맞게 이끌어가는 학문이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끝으로 좀 어렵지만 ‘위상수학’, 영어로는 ‘topology’라는 단어에 대해 알아보자. ‘topology’에서 ‘topo’(토포)는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전공 학생들에게 보안을 비롯한 IT 분야로 진출하라고 권유한다. 수학공부를 하면서 얻은
논리
력은 IT 현장의 상황을 이해하는 능력으로 이어진다. 특히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에 친숙하지 않은 여학생들에게도 조금만 관심을 기울여 보라고 충고했다. 안 부사장은 “보안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 ...
노벨상 꿈꾸는 삐에로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논리
성과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입니다. 살면서 부딪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려면
논리
성과 창의성이 필요한데, 수학만큼 이걸 기르는 데 좋은 과목이 없습니다. 이건 수학의 고귀한 목표지요. 두 번째로, 수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며 생활 구석구석에 쓰입니다. 수학자들이 만든 컴퓨터가 좋은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