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서"(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수학동아 l2011년 07호
- , (1, 3, 12), (1, 4, 9), (1, 6, 6), (2, 2, 9), (2, 3, 6), (3, 3, 4)이고, 세 자연수를 합했을 때 13이 되는 순서쌍은 (1, 6, 6)과 (2, 2, 9)지. 그런데 문제에서 제일 큰 아이가 있다고 했으니 (2, 2, 9)가 답이야. 즉 2세, 2세, 9세가 정답이지.띵동, 나한테만 문제 내 ...
- "제가 만든 변형 우노 게임이에요~!"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있는 규칙을 생각해 보기, 규칙 변형하기, 변형 게임을 직접 해보고 반성하기의 과정을 순서대로 거치면서 변형 게임을 만들수 있도록 말이죠.각 모둠의 학생들은 재밌는 변형 게임을 만들기 위해 진지한 태도로 토론에 임했어요. 모둠마다 조장을 정해 조장은 토론 방향이 엉뚱하게 흘러가면 적절히 ...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된다. 중요한 건, 이처럼 꿈을 정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실행 계획을 만들어가는 게 순서라는 점이다. “중학교 때부터 올림피아드 대회를 준비하며 열심히 공부해온 점은 분명 칭찬받을 만한 일이야. 하지만 네 꿈을 향해 꾸준히 길을 걸어온 게 아니라, 일단은 되는대로 준비를 해놓고 꿈을 ...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결승 경기의 자리 배치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선 경기의 순위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은 순서로 자리가 정해진다. 결승 경기의 자리 배치는 예선 경기에서 1위를 한 선수(4번 레인)를 기준으로 해 양옆으로 대칭을 이룬다. 대체 이유가 뭘까?수영장은 바다와 달리 직육면체 모양의 갇힌 공간이다. ...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큰 병원에서도 일주일씩 밤근무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교대근무의 순서를 조절해 몸이 충격을 덜 느끼게 하는 방법도 있다. 기자가 체험했던 교대근무는 ‘밤샘-저녁-오후-오전-밤샘’ 순으로 시간을 거슬러가며 교대근무를 하는 식이었다. 이런 방식은 몸이 적응하지 못해 무리가 더 많다 ...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수 있게 됐다. 홀수 팀은 리그전 어떻게 벌일까?토너먼트 방식에서는 매번 실력 순서에 따라 준결승, 결승까지 진출한다고 보긴 어렵다. 초반 경기에서 우승 후보를 만나면 실력발휘도 못하고 지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실력이 부족해도 운 좋게 승승장구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 ...
- 가려진 숫자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중 한 번씩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 * 등이 혼합된 계산의 순서는 사칙 연산의 기본 순서를 따릅니다. 예를 들어 1+2*3=7이 됩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이달 15일까지 ‘도전! 1% 클래스’에 대한 독자평과 함께 정답,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왜 1은 소수가 아닌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확장하면 6 =12×1/2= 24×1/4= 30/3 × 3/5=…와 같이 무수히 많은 경우가 생깁니다. 무수히 많은 순서쌍이 생기는 원인은 바로 역수가 분수인 수가 유리수에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수학자들은 역수가 있는 수 범위에서 소인수분해는 생각하지 않기로 했답니다. 즉 자연수범위에서만 소인수분해를 합니다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6호
- b, a, …꼴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되는 순간이 올 것이다. 그 순간에는 …, a, b, c, a, b, c, …의 순서로 계속 순환 반복된다. (a, b 다음에는 a도 b도 올 수 없으므로 c가 올 수밖에 없고, 이런 식으로 같은 논리가 반복된다.) 짝수 개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a, b, c)패턴도 짝수 개이고, 그럼 호의 길이가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정수와 같이 까다로운 분야다. 올해 KMO 문제를 보면 경우의 수를 세는 문제가 2개, 순서배열을 묻는 문제가 2개, 그리고 자연수의 개수와 합을 구하는 문제가 출제됐다. 대체로 계산이 복잡했으나 난이도는 예년과 비슷하거나 쉬웠다. 조합은 난도가 높은 문제에서 비둘기집의 원리(2010년, 2009년),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