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인간의 행동이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한다.이런 한계에도 다윈의 연구는 인간과 동물의 연속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 다윈의 통찰은 현대에 미국 심리학자 폴 에크만 박사로 대표되는 미세표정학과 진화심리학 등에 의해 다시 한번 증명되고 있다. 애초에 다윈이 의도한 ... ...
- [신비아파트] 오싹오싹 귀신, 수학으로 퇴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생각하시나요?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만 대체하리라 생각해요. 물론 기술 개발로 인간의 감정을 흉내낼지도 모르지만, 그 상황에서 목소리 떨림과 호흡을 표현하지는 못하리라 생각해요. 어수동 : 성우가 AI보다 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구하리의 정의로움을 더 잘 표현할 것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탐사하고 있답니다. Q개구리를 위한 수로도 만들었다고요?네. 탐사를 진행하다 보니 인간이 자연을 해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처음 탐사를 시작할 땐 논에 물을 공급하는 수로는 흙으로 만들어진 곳이 많았어요. 그러다 최근 몇 해 사이에 흙 수로 대신 콘크리트 수로가 많이 생긴 거예요. ... ...
- [에디터 노트] 공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기술이 사회와 어떻게 관련을 맺어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성찰적인 기사, 자연과 인간의 공존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글을 꾸준히 게재할 것을 다짐합니다.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룬 과학 연구를 현장의 목소리와 함께 깊이 전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가늠하는 데 길잡이 역할을 하는 기술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셈이다. 알파폴드2가 할 수 있는 것, 그리고 할 수 없는 것 알파폴드2 덕분에 인류는 인간 유전체에 있는 모든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아직 실험적으로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해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고,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의 경우 ...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곤충이나 다른 말과의 접촉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채찍질에 대해 인간만큼 고통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3390/ani10112094말의 채찍질이 무용하다는 사실은 사람에게도 교훈을 준다. 흔히 교육에는 당근과 채찍이 적절한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말한다. 말에게 가하던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참가자들은 ‘강아지와 대화를 할 수 있을까’와 같은 일상적 질문부터 ‘인간 문명은 스스로 유토피아를 이룰 수 있을까’처럼 철학적 질문까지 저마다 품고 있던 다양한 질문을 꺼내놨습니다. 치열했던 경쟁을 뚫고 ‘궁극의 질문’으로 선정된 4개의 질문을 소개합니다. Q. ...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하면 단순히 문제 풀이만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수학의 역할은 무궁무진합니다. 인간이 달에 착륙하거나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것과 같은 우주 탐험은 수학적 계산과 측정이 있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만화영화 ‘토이스토리’도 수학적 공식을 통해 섬세하고 입체적인 ... ...
- [특집] 네가 날 좋아하게 만들겠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뇌에 전류를 흘려서 좋아하는 주스를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지난 11월 2일 발표했어요. 인간은 여러 선택지를 비교한 뒤 가치가 가장 높은 것을 선택해요. 스키오파 교수는 이전 연구를 통해 뇌에서 눈 바로 뒤쪽에 있는 ‘안와전두피질’의 뉴런이 선택 과정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어요.스키오파 ... ...
- [이달의 과학사] 광부를 구한 생명의 지저귐, 탄광의 카나리아, 은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영국 광산에서 무려 1986년 12월 30일까지 쓰이다 이듬해부터 전자 센서로 바뀌었어요. 인간을 대신해 가엾은 카나리아가 희생되는 일도 줄어들었죠. 지금도 과학자들은 환경 오염 실태를 조사하거나 위험한 임무를 진행할 때 종종 감시종 동물의 도움을 받는답니다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