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을 시작했다. 일반인과 전문배우 등 2500명이 참여해 감정 학습을 위한 얼굴 데이터를 만들 계획이다. 최종 데이터와 인공지능 학습 모델, 프로그래밍 코드 등 모든 연구결과는 누구나 연구와 사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될 예정이다. 박 교수는 “인간 감정을 ...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별도의 사냥을 하지 않고도 2~3주 정도를 더 버틸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연구에 참여한 토마스 라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빗해파리가 새끼를 먹는 것은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수학을 좋아하게 됐어요. 수학으로 대화할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합니다! Q 폴리매스에 참여하길 주저하는 친구들에게 조언해 주세요.틀려도 괜찮아요! 폴리매스는 자신이 아는 지식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수학 지식을 배워가는 곳이에요.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하지만 폴리매스에서 ... ...
-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시작했다. 전 세계 6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의 95% 수준이다. 관측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던 코리네 퀘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교수는 미국 매체 ‘내셔널지오그래픽’과의 인터뷰에서 “인류는 여전히 같은 차, 도로, 산업, 그리고 집을 유지하고 있기에, 코로나19로 인한 제한이 풀리면 탄소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전 토의 활동이나 발표 및 토론 활동 등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모든 과정에서 학생들의 참여도나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평가하는 관찰평가도 진행합니다. ❸ 디자인 싱킹 개념 알기디자인 싱킹이란 디자이너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과정입니다. 디자인의 의미를 ... ...
-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신곡초 6학년)9월 23일 수학동아와 사이람이 주최한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에 참여한 친구들이 행사가 끝나고 남긴 후기예요. 대체 어떤 강연이었기에 이런 찬사를 보냈을까요? 데이터 요리쇼를 시작하는 시간은 오후 4시였지만, 수학동아 팀은 오후 2시부터 분주히 움직였습니다.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그 결과 4D+SNS를 개발하게 되었답니다. Q 참여 가능한 인원과 거리가 얼마나 되나요?현재는 최대 4명이 거리에 제한 없이 가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어요. 지난해 10월, 서울 홍릉동에 있는 사용자가 약 16km 떨어져 있는 봉천동의 사용자와 가상 공간에서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앞서 3월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등도 유사한 코로나19 데이터 오픈 프로젝트에 참여한 바 있다.CORD-19 서치는 사용자가 연구에 대한 질문을 올리면 머신러닝 기반의 자체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해 적절한 답변까지 제공한다. 출시한 지 7주 만에 한국, 인도, 영국 등 76개국에서 수천만 건의 질문이 ... ...
- [수학체험실] 나만의 패킹 퍼즐 만들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다양한 퍼즐의 세계‘채워 넣기 퍼즐’이라고도 불리는 패킹 퍼즐은 일정한 공간에 퍼즐 조각을 모두 채워 넣어야 하는 퍼즐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3~4개의 정육면체로 이뤄진 7개의 조각을 조립해 3×3×3 정육면체를 만드는 ‘소마 큐브’와 원기둥 모양의 조각 6개를 입구가 좁은 정육면체 상자에 ...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길이를 약 47m로 추정했어요. 이를 바탕으로 전체 길이를 추산하면 120m 정도였죠. 연구에 참여한 네리다 윌슨 연구원은 “이 생물은 아마 우리가 바다에서 본 생물 중 가장 길 것”이라며, “심해에 매우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는 예상은 했지만, 관찰 결과,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