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d라이브러리
"
창조
"(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복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전신을 감싼다. 이처럼 한복은 착장방법에 따라 고운 맵시를 내거나 새로운 착장자태를
창조
할 수 있어서 미의식과 예술성이 곁들여진 우리 민족만의 자랑스러운 옷이라고 하겠다.한복에서 선조들의 지혜로움을 엿볼 수 있는 가장 큰 부분은 한복의 구성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복은 형태의 ... ...
3 팔과 손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수 있는 엔드이펙터는 기구의 성능이나 효율성, 또는 작동의 세련미 등에서 그동안
창조
된 수많은 기구중에서 가장 다재다능한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링크와 구동기 및 감지요소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인간의 손을 모방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환경정보도 손으로 감지다지 로봇손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nuclei)등에서 뿜어나오는 물질흐름은 바로 우주공간 여러 곳에서 일어난다는 물질과 공간
창조
의 현상으로 볼 수 있다(이 현상들에 대한 정설은 물질의 분출이 이 천체들 중심에 있는 검은구멍과 그 둘레의 유입물질원반 때문이라는 해석이다).이상에서 보았듯이 준정상우주모형은 대폭발 가설을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메카트로닉스 시대는 저물고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시대가 오고 있다. 아직은 바이오센서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20년 이내에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 ... 등 공상과학영화에 나오는 바이오컴퓨터를 충직한 하인으로 거느리고, 예술 등 보다
창조
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때가 멀지 않았다 ... ...
김치·된장, 암 예방에 큰 효과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어려우므로 맛을 만들어 내는 여러가지 기술이 발달하게 됐다. 한국의 발효식품은 맛의
창조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식품들이다.간장 된장은 콩에 있는 단백질을 미생물의 힘으로 분해해 구수한 고기맛을 내게 한 식품이다. 메주는 일본식 간장과 달리 겉에 황곡균 곰팡이(Aspergillus oryzae)가 ... ...
1 해외- 추계 컴덱스, 윈도스95 이동컴퓨팅 대세장악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그 중 10%만이 통신을 이용하고 있다"며, "이는 통신으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흥미롭지도,
창조
적이지도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그는 이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원터치로 인터네트 접속을 할 수 있는 '마블'의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윈도스 95상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시작으로 10년 ... ...
초신성 1987A 둘러싼 3개 고리 생성 논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파괴로부터 아름다움을
창조
하는 힘을 비축하고 있다. 7년 전 청색거성이 폭발하여 생긴 초신성 1987A가 바로 그 예다. 1987A 주위에 3개의 고리가 형성된 모습이 허블망원경에 잡혔다.이 사진은 천문학자들을 기쁘게 한 동시에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콜로라도주에 있는 천체물리학공동연구소의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관여할 개연성이 갈수록 농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생명공학은 이미 새로운 생물을
창조
하는 길을 터놓았으며, 컴퓨터 기술은 생물처럼 자식을 낳고 진화하는 기계의 개발을 겨냥하고 있다.더욱이 두 기술이 제휴하여 분자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분자 크기의 기계, 즉 분자기계의 개발이 시도되고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있지 않을까요." 이대실 박사의 이야기는 노벨상 콤플렉스에만 젖지말고 기초과학부터
창조
성을 찾아야 한다는 이야기.김제완 교수의 말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국내외에서 학위를 받은 우수한 인재들이 자신의 학위논문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학위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재야학자이다. 그는 스스로 봉급이 좋은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 편한 연구소 생활이
창조
성을 말살하게 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그가 지구가 살아있다는 생각을 처음 품기 시작한 시기는 직장생활을 마감한 50대 초반무렵이었다. 그는 "50년 이상의 생애를 보내고 나서 얻을 수 있는 여러 좋은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