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뉴스
"
생명체
"(으)로 총 1,301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의 ‘분수’ 복잡한 유기물 내뿜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6.28
그보다 몇 배 큰 유기물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에
생명체
가 존재할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프랭크 포스트베르크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지질학연구소 연구원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공동연구팀은 토성 무인탐사선 카시니 호가 201 ... ...
괴물 강아지와 아저씨 강아지
팝뉴스
l
2018.06.13
사진이 재미있다. 외계에서 날아온
생명체
인가. 몸 전체가 가느다란 다리와 머리만 이루어져 있다. 표정은 아주 호전적이다. 불만이 가득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사진은 어떤 옷을 입는지에 따라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팝뉴스 제공 아래 사진도 비슷하다. 강아지가 쇼파에 ... ...
과거 생명의 흔적? 35억 년 전 화성 암석에서 유기화합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대기 중 메탄은 주로 생물(소 등 가축)이 만들기에, 화성의 메탄이 어디에서 생기는지는
생명체
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문제였다. 하지만 지구 시간으로 약 4년 반(화성 시간으로 3년) 동안 큐리오시티가 측정한 대기 중 메탄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겨울 동안 지표면 또는 지하에 ... ...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
2018.06.10
계통적으로 거리가 먼 동물의 유전자를 섞는 것으로 나온다”며 “이 경우 제대로 된
생명체
가 태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공룡이 악어 같은 파충류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지만, 현재 고생물학계에서는 닭이나 타조 등 조류와 계통 발생학적으로 훨씬 가깝다는 게 정설로 ... ...
폭발한 하와이 화산서 火星 옛모습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지대 같은 극한 환경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진화했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성에
생명체
가 살 수 있을지 가늠해볼 예정이다. 화성 탐사 임무에서 활용할 장비를 개발하고 시험하는 계획도 포함돼 있다. 지구의 화산에서 초기 화성의 모습을 엿보려는 바살트 프로젝트는 2015년부터 ... ...
[짬짜면 과학 교실] 스스로 돕는 식물의 생존법
2018.06.02
있어요. 세포의 핵은 무척 중요한데 핵에서 생명 활동을 조절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생명체
의 기본 단위인 세포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생물과 무생물이 구분되어요. 우리가 동시를 읽고 느끼는 것, 식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세포에서 출발한 (높은 수준의) 생명 활동을 하는 거예요.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뚜렷한 개성 가진 인간의 친구… ‘스타워즈’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그들을 지구인과 같은 종족으로 두었을 때의 이야기다. 우주시대를 살아가는 수많은
생명체
를 두고 벌인다는 줄거리, 그 속에서 제다이 일족이 반드시 지구인이라고 단정 지을 수 있을까. 그렇다면 제다이들이 저만의 특수 능력을 갖고 있다고 상상해도 논리에 무리가 없지 않을까. 보통 영화의 ... ...
패션이 과학과 만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2018.05.30
사슬로 만들어진 거미줄은 인장력과 신축성이 우수하죠. 또 숲에서 나는 버섯은 다른
생명체
와 다르게 식물도 동물도 아닌 듯한 특수한 질감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거미줄과 버섯으로 섬유를 만든다면 어떨까요? 미국 볼트 스레드(Bolt Threads)는 생태 친화적 재료로 새로운 직물을 개발하는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기능을 가질 수 있었고, 진화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00만 가지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체
의 돌연변이가 무작위로 생기는 게 아니라 세대를 뛰어넘어 단백질의 경첩 운동을 중심으로 생겨난다는 이론인 셈이다. 이번 연구는 단백질 진화 모형으로 유전자와 단백질 기능 사이의 관계를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초기의 원시 단계 세포와 매우 유사한 형태다. 현재까지 인공적으로 구현된 세포 중 가장
생명체
와 가깝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시금치에서 광합성을 하는 단백질과 박테리아에서 광전환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추출해 세포 내 대사작용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인공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