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스페셜
"
남아
"(으)로 총 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발견된 서기 150년경 만든 크림은 통의 뚜껑을 열면 크림을 떠내던 손가락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완벽하다. 영국 브리스톨대의 리차드 에버쉐드 교수팀이 이 크림의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녹말과 동물 지방이 각각 40% 정도 들어 있었다. 녹말은 지방의 번들거리는 느낌을 줄이기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①] 우주로부터의 선물, 태양광
동아사이언스
l
2014.07.22
효율 및 양산기술의 부재 등 당장 상용화를 하기에는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남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회복세에 들어서고 있는 실리콘 및 박막 기반의 기존 태양전지 시장에 대한 재조명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추진과 지원정책을 ... ...
수영장에서 ‘쉬~’ 하지 마세요
2014.07.21
가본 사람은 특유의 염소냄새를 맡아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남아
있는 염소 역시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물속 분자와 만날 경우 화학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분자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물질을 ‘소독부산물(disinfection byproducts)’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알려진 소독부산물은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이론에 따르면 밀가루 음식을 먹었을 때 글루텐이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채 소장 점막에
남아
면역계를 자극해 염증을 유발한다고 설명한다. 즉 글루텐의 소화흡수율이 낮은 사람이 밀가루 음식을 많이 또는 장기적으로 먹으면 탈이 난다는 것이다. 필자는 다행히 글루텐 민감성은 아닌 것 같고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이론가들은 초기 우주에서 초대칭입자 대다수가 소멸했고 가장 가벼운 종류만이
남아
암흑물질을 이루고 있다는 가설을 내놓았다. 올 연말 LUX실험이 재개돼 300일 동안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인데 이때 암흑물질이 걸려들지 지켜볼 일이다. 2019년 무렵이면 현재 370kg의 액체 제논을 7t으로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
2014.05.29
도로 여름에는 이곳에서 물놀이를 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삼별초의 항쟁 역사가
남아
있는 환해장성을 볼 수 있다.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해안선을 따라 돌을 이용해 만든 성벽이다. 올레길 18코스의 화북포구는 용천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유적지가 함께 있어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
KAIST
l
2014.05.26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친구들과 함께한 시간이 가장 소중했고 기억에 많이
남아
요. 카이스트에서 크고 작은 과제들을 같이 해결했던 과정이 사회에서 큰 자산이 되었어요. 그래서 사람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활동을 많이 하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저는 택견 동아리, 게임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여성들이 젖가슴을 드러내놓고 다니는 모습을 특이하게 생각해 기록한 글과 사진이
남아
있다. 결국 수백 년에 불과한 이런 문화적 취향 변화에 인류의 ‘진화’를 끌어다 붙이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 ●레이첼 카슨, 50년 전 유방암으로 숨져 젖가슴에 대한 필자의 두 번째 깨달음은 이 ... ...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
KISTI
l
2014.04.25
이르러 반상에 남은 끝내기가 10집 이하밖에 없을 때부터 사용한다. 즉, 자기 차례에
남아
있는 가장 큰 끝내기가 10집이 안 된다고 생각되면 착수를 한 번 쉬고 대신 10점짜리 쿠폰을 가져간다. 상대방도 마찬가지다. 이제 남은 쿠폰 중에 가장 큰 점수는 9.5점이므로 자기가 둘 착수의 가치가 더 크다고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것. 엽화가 심하게 일어난 장미꽃 봉오리의 단면. 엽화의 정도는 꽃구조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경우에서 완전히 소멸된 수준까지 다양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괴테 이후에도 몇몇 식물학자들이 이런 현상을 관찰했고, 특히 영국의 식물학자 맥스웰 마스터스는 1869년 펴낸 책 ‘식물 기형학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