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독자"(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만의 전통,딸기축제!KAIST l2013.05.03
- 옥상에서 딸기를 먹었던 적이 있는데 매우 즐거웠습니다. ‘ KAIST비전’을 읽는 많은 독자분께 드리고 싶은 말씀은 언제든지 캠퍼스에 놀러 오셔도 좋다는 것입니다.딸기축제는 KAIST인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주변 주민분들과 다 함께 즐기는 것이니, 놀러 오셔서 구경을 하셔도 좋고 함께 즐기셔도 ... ...
- 갈라파고스의 공룡은 어떻게 멸종했는가?KOITA l2013.05.03
-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광학저장매체의 항복 선언이었던 셈이다. 그렇다고 소니가 독자 표준에 집착하는 버릇을 버렸는가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다른 기업들이 SD(Secure Digital memory) 카드를 본격적으로 생산하면서 플래시 메모리 시대를 대비하고 있을 때 소니도 대비하고 있기는 했다. 물론 전혀 ... ...
- “나노기술 대중화가 나노기술 산업화 성공 관건”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3년 4월 23일 출고 기사 ...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방안이다. “5~6월에 부지를 선정해 늦어도 2012년에는 뇌 연구원 문을 열 계획입니다. 독자적 연구와 융합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주요 대학 연구소와 협력해 국내 뇌 연구 수준을 대폭 끌어올릴 것입니다. 여기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 인력을 길러내면 2040년 쯤에는 뇌 연구원에서 노벨상 ...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인터넷 과학신문 ‘더사이언스’는 17일부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바이오선진화!’ 공동 기획을 한달에 2회씩 연재합니다 ... 과학기술계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생생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기획해 나갈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 최만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최 교수는 나노기술을 효과적으로 산업화하기 위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기반기술로만 ...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2012년에 나노기술을 접목해, 유전자 칩 기술을 개발한 적이 있어요. 세포 내에 있는 나노단위 미세 구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었는데, 이 기 ...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KAIST 유일의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KAIST l2013.04.30
- 통쾌하고 승리가 달콤했던 것 같습니다. Q6 마지막으로 전하는 말 A 축구를 좋아하는 독자 여러분이 축구를 할 기회는 허리케인에 들지 않더라도 충분히 많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대,포항공대, 그리고 대전시 타 대학들 등과의 외부 교류전에 KAIST 대표로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하지만 대부분의 영역은 재조합이 안 된다. 각각 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독자적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Y염색체 역시 현생인류의 여정을 추적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염기서열 데이터는 미토콘드리아 게놈과 마찬가지로 전부 현생인류의 범주 안에 ...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책 ‘Why we get fat’은 베스트셀러가 됐고 여전히 스테디셀러다(아마존 사이트를 보면 독자리뷰가 무려 650건이나 올라와 있다!). ‘앞으로 비만에 대해 글을 쓸 때는 조심해야겠구나.’ 토브스의 칼럼을 읽고 ‘과학은 넓고 읽을 건 많다’는 걸 또 다시 절감하게 됐다. 이런 와중에 ‘사이언스’ 2월 2 ... ...
이전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