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강청정제로 신생아 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신청했다고 10월 11일 밝혔다.세균 감염은 신생아 사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다. 매
년
신생아 295만 명이 사망하는데, 이 중 13%인 39만 명이 감염으로 사망한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신생아의 배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지 못해서 아기가 황색포도상구균이나 대장균 등에 감염되는 일이 자주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우주를 촬영한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
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
년
동안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했다. 장기 비행 시 몸 안팎의 미생물 구성이 바뀌면서 임무 수행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통과하는 것이 목표다.의사들이 약을 처방하는 데 도움을 줄 ‘닥터 엑소브레인’은 내
년
서울 나누리병원에서 인턴(시범 운영) 경험을 쌓을 예정이다. 인턴생활을 무사히 마치면 의사의 대안 검증 수단으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다.들여다 보자! 수능로봇의 머릿속로봇도 공부를 해야 문제를 풀 수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1455억 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내연기관 과제에 지원되는 돈은 167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4
년
새 70%나 줄었다. 전체 예산의 69%인 1006억 원이 자동차 부품 품질인증센터 구축 등 지역자동차 사업에 들어간 것에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액수다.민 교수는 “클린 디젤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쉬운 일은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재생효율과 극저온에서만 가능하다는 제약 때문에 1990
년
대 후반에는 자취를 감췄다. 2000
년
대 들어 정지 빛을 포함한 여러 양자메모리 방식들의 약점이 드러나자 극적으로 다시 부활했다. 느린 빛을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는 양자컴퓨터와 양자통신이다. 필자가 연구하고 있는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효과1887
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는 금속판에 빛을 쬐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을 발견했다. 바로 광전효과다. 금속판의 전자는 금속 원자와의 상호작용으로 묶여있기 때문에 저절로 금속판을 벗어날 수 없다.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밖에서 쪼여줘야만 전자가 금속판을 박차고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것을 막는다. ACTs 용법으로 2004
년
에는 연간 95만 명에 달하던 말라리아 사망자 수가 2013
년
에 58만 명으로 줄었다. 어린이 말라리아 사망률도 크게 감소했다.최근에는 우리나라 제약회사도 말라리아 ACTs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국산신약 16호로 허가된 ‘피라맥스’는 아르테미시닌을 개선한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못했던 자원들을 기술이 발달한 지금은 사용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지금은 앞으로 100
년
까지도 보고 있어요. 탐사나 개발, 자원 처리 기술이 발전하면 더 늘어날 수도 있겠죠. 물론, 그래도 유한한 자원이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이뤄져야 해요. 환경 문제도 심각하니까요.정용권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앞으론 피부를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몰라요.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과 김대형 연구위원팀이 스티커 ... 주도한 현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디스플레이 필름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5
년
안에 실용화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답니다 ... ...
[지식] 테렌스 타오, 83
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한다고 생각했다. 그 선두에 1998
년
필즈상 수상자인 티머시 가워스 교수가 있다. 2009
년
말, 그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포함한 여러 수학 문제를 온라인에서 함께 풀자고 제안했다. 일명 ‘폴리매스(POLYMATH)’ 프로젝트다. 가워스 교수는 인터넷 사이트를 만들고 수학문제를 소개했다. 그러면 ... ...
이전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