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발전이 좌우된다고. 오늘날과 같이 수학이 경쟁력인 시대에는 더욱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
이 왕이 돼야 하지. 그런데 천상에서는 수학으로 나를 따라올 자가 없으니 내가 왕이 돼야 할 것 같아. 컬컬컬~.무슨 소리! 무영이 소개한 왕들을 쭉 살펴보라고. 다 잘 생겼잖아! 세종대왕과 정조만 봐도 알 수 ... ...
수학 문제만 보면 머리가 아픈 이유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기능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를 이용해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
과 그렇지 않은
사람
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기능자기공명영상 장치는 특정한 활동을 할 때 변하는 뇌 상태를 촬영할 수 있어 뇌기능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쓰인다.연구팀은 두 그룹의 참가자들에게 화면으로 수학 문제를 풀지 ... ...
수학 능력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동작인식 게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전기 자극이 그 부위의 활동을 증폭시킨 것이다. 카도쉬 교수는 “동작인식 게임은 모든
사람
이 좋아하기 때문에 앞으로 좋은 학습 도구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동작인식 게임과 인지 능력, 그리고 뇌 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연구할 계획이다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것과 같습니다.김도연 위원장은 수학의 중요성을 힘주어 강조하며, 가 많은
사람
들이 즐거운 수학을 만날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면 한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청소년들에게 당부의 말씀을 부탁했다.“청소년들이 여러 가지로 많이 힘들 거예요. 하지만 도전하고 ... ...
손으로 말해요! 수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충분히 할 수 있다. 우리가 ‘잘 듣는’
사람
이라면 청각장애인은 ‘잘 보는’
사람
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청각장애인들은 바디랭귀지와 표정, 입 모양 등을 통해 우리가 하고자 하는 말의 많은 부분을 이해한다고 한다.여기에 말문을 열기 좋은 간단한 수화를 소개한다. 간단한 수화로 대화를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요리책도 냈는데, 전통적인 조리법이 아닌 현대적인 조리법을 소개하는 책이에요.
사람
들이 새로운 조리법을 이용해 상황에 맞게 다양하고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먹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만들었어요.저는 수학과 요리를 배우는 친구들 모두가 결과를 걱정하지 말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 ...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진짜’ 효과가 있다?고기도 먹어 본
사람
이 맛을 안다는 말이 생각난 기자. 마셔본
사람
들을 만나고 싶었다. 그것도 한두 명이 아닌 수십 명, 아니 수백 명의 경험을 들어보고 싶은 욕심이 앞서 방법을 고민하던 중 낭보가 전해졌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이 지난 10월 8일 기능성 음료를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진짜(improbable Genuine)’라는 단어의 약자다. 이그노벨상을 받기 위한 조건은 2가지다. 먼저
사람
들을 웃게 해야 하고, 거기서 그치지 않고 생각을 하게 만드는 연구여야 한다. 매 해의 이그노벨상 수상자는 미국 하버드대의 ‘황당무계 연구 연보’를 만드는 편집진과 여러 과학자들이 선정한다.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하나 더. 죽음의 공포는 나 자신이 대상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는 또다른 방법은 주위
사람
을 도와주고 봉사하는 일이다. 최근 자신만의 생존과 성공을 위해 사는 풍조가 만연하다. 하지만 나나 내 가족만 추구하는 것은 결국 나 자신을 죽음의 공포로 이끌고, 더 큰 스트레스로 자신과 가족을 ... ...
음습한 생물? 편견을 버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 동안 왜 몰랐던 걸까. 몰랐던 게 아니다.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았을 뿐이다. 음습하고
사람
이 잘 찾지 않는 곳에서나 만날 수 있는, 징그러운 생물 정도로만 알았다. 하지만 저자는 ‘지의류는 아름답다’고까지 말한다. “비가 갠 후 지의류가 충분한 수분을 머금으면 종류에 따라 미묘한 색의 ... ...
이전
832
833
834
835
836
837
838
839
8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