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포커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성공적인 수학 축제가 되려면?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조직위원장은 “7년 전 세계수학자대회 유치위원회가 구성됐는데, 이제 대회를 8개월 눈앞에 둔 시점에 왔다”며, “세계수학자대회가 규모도 크고 필즈상 수상자가 배출되는 대규모 행사의 성격에서 더 나아가, 앞으로 대회를 통해 우리나라가 무엇을 얻을지 정리하고 이를 공유하고자 포럼을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단지 “난 창을 갖고 있지 않다”라고 말하면 됐다.이유 2 0은 수 체계를 무너뜨린다?!세월이 흘러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같은 연산을 하게 됐을 때에도 사람들은 0이 일반적인 수의 규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았다. 보통 수라면 어떤 수에 자기 자신을 더하면 다른 수가 된다. 예를 ...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날짜는 2014년 1월 3일 금요일 오후 2시. 장소는 다음 암호를 풀면 알 수 있다!1612125121144. 이 숫자를 풀어야 장소를 알 수 있다? 도대체 이 숫자 속에 숨은 규칙은 뭘까…. 앗! 알았어! 16, 12, 1, 25, 12, 1, 14, 4. 바로 그곳이야!퍼즐 해결사가 필요해!“2013년 12월 25일 새벽 12 ...
- [현장취재➋] 수학동아 레고카페, 레고와 수학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레고 공장 모형으로 배우는 수학! 독자들을 깜짝 놀라게 한 것은 지난 2013년 11월호 특집 기사 ‘매스 CEO 클럽’에 소개된 레고 공장 모형으로, 레고 에듀케이션의 ‘마인드스톰 EV3’ 제품으로 만든 것이다. 마인드스톰은 레고 블록에 모터와 중앙처리장치를 결합시킨 첨단 제품으로, ... ...
- 중국의 ‘선녀’, 달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무인 달 탐사 위성인 ‘창어 3호’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월 14일 오후 9시 12분 경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이로써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달에 도달한 나라가 되었답니다.창어 3호는 12월 2일 중국 쓰촨성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뒤 12일 간의 우주여행 끝에 달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덕분에 다양한 일들을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로봇 기자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09년 4월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저널리즘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 4명은 수업에서 조별 과제를 하기 위해 뭉쳤다. 이때 과제의 주제는 기자들의 단순노동을 줄여서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도록 만드는 방법이었다 ...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11월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부지는 과거 조선시대 규장각이 있던 자리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 주는 가교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개관을 기념하는 첫 전시는 바로 !이 전시가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서 수학동아 독자기자들이 찾아가 봤다. 전시를 직접 기획하고 ... ...
- [현장취재 ❶] 수학동아 클리닉 덕분에 수학 자신감 되찾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쓴 소망편지를 개봉하도록 하겠습니다. 각자 나와서 자신이 쓴 편지를 읽어 주세요.”1월에 자신에게 쓴 소망편지를 담은 타임캡슐을 개봉하는 시간. 학생들은 수줍어하며 자신이 쓴 편지를 하나둘 읽어 나갔다.“동환아, 1년 뒤에 넌 수학을 지금보다 더 좋아하게 되고, 수학에 자신감도 얻을 거야. ...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태어난 미국의 사진가 윌슨 벤틀리다. 그가 처음 눈 결정을 사진으로 찍은 것은 1885년 1월 15일, 19살 때였다. 벤틀리는 15살이었을 때 선물로 받은 현미경으로 눈 결정을 관찰하다가, 눈 결정의 기하학적인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이 일을 계기로 벤틀리는 어머니를 설득해, 당시로서는 매우 고가였던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밝히는 것도 21세기 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암흑에너지에 대해서는 2013년 12월호 특집 참조).이런 이유 때문에 표준모형은 (만약 그런 것이 있다면) 물리학의 궁극적인 이론 또는 최종이론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발견에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그 자체가 ... ...
이전8338348358368378388398408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