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헐크 닮은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신비한 몸을 가지고 계시네요. 그 원리를 이용하면 뭔가 재미있는 발명품도 나올 것 같은
데
요….눈썰미가 좋으시네요. 연구팀도 제 등의 구조를 이용하면 습도에 따라 색깔이 바뀌는 다양한 습도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더라구요. 곤충의 몸이 습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이용한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톤톤’소리를 내며 뿔뿔이 도망간답니다.”물고기가 소리를 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데
다가 서로 이야기까지 나눈다는 닥터고글의 이야기에 나소심 군은 이젠 소심한 심장이 밖으로 튀어나올 지경이다.“더 재미있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동물행동학자 칼 폰 프리슈 박사는 물고기에게 먹이를 줄 ... ...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끊는다. 불길한 마 음으로 편지를 기울여 보는 썰렁홈즈. 그만 뒤로 나자빠지고마는
데
….사실 이 편지는 홀로그램으로 쓴 편지로 비스듬히 기울이면 다른 글자는 모두 사라진 채, ‘속았지? 메롱!’이라는 글자만 보이는 장난편지였던것이다. 만우절을 맞이해 뭔가 건수를 노리던 회장님이 ... ...
쇠보다 강한 나노종이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쇠보다 강한 종이가 개발됐다. 스웨덴 왕립공대 라스 베르그룬드 교수팀이 기존의 섬유질을 이용해 주철보다 강한 인장력을 지닌 ‘나노종이’를 개발해 미국 ... 베르그룬드 교수는 나노종이가 기존의 종이를 강화하거나 생체 조직을 대체하는 물질을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다고 밝혔다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캐나다 토론토대 심리학과 아담 앤더슨 교수팀은 얼굴 표정이 인간이나 동물이 살아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6월 15일자에 발표했다.앤더스 교수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공포, 메스꺼움, 행복, 슬픔과 같은 감정을 잘 드러낸 얼굴 표정(사진)을 만든 뒤 실험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거울의 지름이 큰 천체망원경일수록 더 먼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 현재 거울의 지름이 8m 이상인 천체망원경 15대가 세계 각지에 설치돼 우주를 관측하고 있다. 예를 들 ...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아울러 이공계 기피현상을 바로잡고 해외 우수과학자를 유치하는
데
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계속할 예정이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인개발단 최기혁 단장은 “18가지 실험 가운
데
는 학문적으로 큰 성과가 기대되는 실험이 많다”며 “제올라이트 결정성장 실험은 이미 결과 분석이 끝났으며 국제 유명학술지에 논문이 투고돼 게재 여부를 심사받고 있다”고 밝혔다.이날 발표회에서는 이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The selective value of a gene depends on how it affects the total reproductive probability.어떤 유전자의 선택 가치는 이 유전자가 전체 생식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우리는 ... 노화이론은 조금이라도 젊게 보이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자신의 숙명(!)을 받아들이는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여름철 장대비가 내리고 나면 숲속 여기저기에서 수많은 종류의 버섯이 고개를 든다. 어디에 숨었다가 돋아나는지 신비스럽기만 하다. 사실 알고 보면 버섯은 ... 구토가 나는 증상이 3~4일 계속된다. 이 버섯은 술 먹지 않은 상태에서 먹으면 무해하므로, 술을 끊는
데
유용할지 모르겠다 ... ...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상상 그 이상의 설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유전알고리즘’도 개발하고 있다. 신개념 유전알고리즘은 처음에는 설계 변수 가운
데
몇 가지만 고려해 빠르게 전체 형태를 설계한 뒤 세포가 분화하듯 설계 변수를 점차 늘리며 구체적인 모습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기존 방식보다 10배나 빠르게 설계할 수 있다.자동설계 연구를 시작한지 10년이 ... ...
이전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