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희생자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공계 학과 상당수가 미적분을 마치 ‘사칙연산’처럼
사용
하기 때문에 미적분을 잘 못하면 대학 강의를 제대로 소화하기 어렵다.이를 극복하려면 먼저 신입생의 수준에 맞춰 대학이 변해야 한다. 연세대 수학과 유현재 교수는 “보충수업은 소극적인 대응”이라며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따라서 인체 홀로그램에서는 극히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특수 레이저를
사용
한다.“10억분의 25~35초 동안 발생하는 펄스 레이저입니다. 아무리 미세한 움직임이 있어도 10억분의 25초 동안에는 정지해 있게 되죠. 사람을 찍으려면 수백MW 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짧은 시간 동안 ... ...
MIT 미디어랩 - 사람 중심의 미래를 준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를 시스템이 파악해,
사용
자에게 즐거운 표정의 아바타가 나타나 웃겨주는 식으로
사용
자의 다양한 변화를 감지해 이를 표현한다.이밖에도 생활 도구를 더 편리하게 만드는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각 연구그룹에서는 프로젝트 연구논문이 PDF로 제공된다. 신비한 날씨나라 www.anjella.pe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이 고민에 해답을 하나 내놨다. 바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사용
하는 해조류를 키우는 것. 이들은 나란히 배열한 배양기 안에 해조류를 빽빽이 심어 빛을 받는 면적을 최대한 크게 설계했다. 그리고 24시간 빛을 쬐어주고 양분을 순환시키며 정기적으로 과다 번식한 조류를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여기에는 코발트(Co-60) 같은 동위원소에서 나온 감마선이나 가속기에서 갓 나온 전자선을
사용
한다.최근 들어 방사선 처리과정이 주목받는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조사에 따르면 우주인이 겪는 가장 큰 스트레스는 음식이 입에 안 맞는다는 것. 수면부족과 정서적인 문제는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설치된 ‘하이브리드 시너지드라이브’라는 장치는 달릴 때 엔진을
사용
할지 모터를
사용
할지를 결정한다. 국내 업체인 현대차와 기아차도 각각 투싼 FCEV, 스포티지 수소연료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를 출품한다. 명차를 만드는 장인정신자동차는 2만개가 넘는 부품으로 만든 모자이크다. 작은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교재, 포스터, 학습키트, 교육용 CD를 제작해 무료로 배포했다. 수업 현장에서 바로
사용
할 수 있는 교재를 교사에게 무료로 나눠준다는 것은 그만큼 정부가 과학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특히 NASA의 부스가 상당히 북적거렸다. 홈페이지(www.nasa.gov)에 먼저 공개돼 인기를 끌었던 세계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관여함이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뇌 신피질의 50%가 넘는 부분이 시각정보를 분석하는데
사용
된다는 사실은 놀랄 만하다.볼 수 있다는 건 기적이다시각체계는 망막에서 뇌의 각 부분으로 평행경로를 따라 구성돼 있는데, 아래관자경로는 무엇을 보는가, 뒤관자경로는 어디를 보는가에 밀접한 관계가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재구성되는 건 아니다. 어떤 사람이 살인현장을 목격했다고 하자. 그는 살인자가
사용
한 무기만 봤고 살인자의 얼굴을 목격하진 못했다. 하지만 그는 재판에 증인으로 나와 백인과 흑인 용의자 중 분명히 흑인이 살인을 저지른 것을 봤다고 증언한다. 책이나 영화에서 범죄자로 나온 흑인에 대한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이어그램이 가진 한계였다.김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 대신 ‘면’을
사용
했다.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표면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원자의 크기까지 고려한 것. 이 방법을 쓰면 겉으로 보기에 같은 평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단백질도 어떤 것은 편평하고 어떤 것은 ... ...
이전
834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