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과정에서 염기가 잘못 붙으면 돌연변이가 일어나는데, RNA 바이러스는 이를 교정하는 기능이 없어 변이가 특히 잦다. 이 때문에 백신이나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다. 약물을 개발하는 동안 변종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구제역 바이러스는 80가지가 넘고, AI ...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단백질을 주입해 근육세포로 분화시켰다. 또 3차원 배양 방식을 도입해 세포를 근육 기능을 할 수 있는 근육 조직으로 성장시켰다. 이를 이용하면 손상된 근육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 버삭 교수는 “근위축증처럼 근육 조직을 얻기가 힘든 환자의 경우에도 쉽게 조직 샘플을 얻을 수 있고, 약물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설명했다. 연구팀은 수차례 훈련하면서 얻은 데이터로 태권브이의 자율주행 기능을 최적화했다. 사람이 조종해서 기문을 통과할 때의 영상과 속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취합한 뒤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한 동작을 찾았다. 그에 따라 최적의 정보를 태권브이에게 설정했고, 실전에서 자율주행 할 때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라진 뒤에도 길게는 2~3개월 동안 몸속에 남는다. 권 센터장은 “인삼과 같은 건강기능식품 역시 생리적인 대사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며 선수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대사체는 금지약물 400가지 각각에서 2~3가지씩 나온다. 수백 종의 미량 물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첨단 분석 장비가 필요한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붙은 뒤 물에 녹아서 사라지고, 금 나노섬유만 남아서 측정한 생체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피부는 신체 어디에나 붙일 수 있고, 관절이 구부러지면 자연스럽게 휘어 신호 전달에도 문제가 없다. 전자피부에 온도와 압력, 터치 센서를 붙이고 측정한 결과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신 해열, 진통에 주로 효과가 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장기간 과다 복용 시 심각한 간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천장효과는 동일하다. 오피오이드는 마치 엔돌핀인 척 이런 수용체에 결합해 감각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의 흥분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오피오이드(엔돌핀)가 작용하는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팀은 우울증 환자 336명과 건강한 성인 350명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했다. 그 결과 우울증 환자에서는 보상에 관여하는 영역과 즐거움을 담당하는 영역 간의 연결은 약한 반면, 처벌과 괴로움의 영역 사이의 연결은 더 강했다. 즉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신원선연세대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고 일본 교토대에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11년간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식품분석법을 연구했다. 2006년부터 한양대 식품영양학과에서 식품화학과 분자미식학을 연구하고 있다. hime@hanyang.ac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흐름을 조절하는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모두 갖춘 소자다. 최근엔 멤리스터가 AI의 기능을 구현하기 유리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다시 각광받고 있다. 멤리스터의 동작이 마치 인간의 뉴런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뉴런은 주어진 자극에 따라 다른 뉴런과 신호를 주고 받는다. 멤리스터끼리 연결해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