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노릇노릇! 박기자의 제빵왕 도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부푸는 원리를 이해하라!Part3. 노릇노릇 보기 좋은 빵이 맛도 좋다!Part4. 빵 만드는 로봇 등장?Part5. 박기자의 도전! 에끌레어 만들기 도움★김자람(서울연희실용전문학교 호텔제과제빵전공 교수), 서용원(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김세헌(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강천식(농촌진흥청 ... ...
- [만화뉴스] 루빅스 큐브를 1초 만에 푸는 A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7월 15일 루빅스 큐브를 약 1초 만에 뚝딱 맞추는 인공지능(AI) ‘딥큐브에이’가 등장했어요. 루빅스 큐브는 면의 색이 서로 다른 작은 정육면체를 모아 만든 퍼즐이에요. 루빅스 큐브가 만드는 경우의 수는 약 4300경(1경=1만 조) 개지만, 이 중 정답은 오직 하나지요.딥큐브에이를 개발한 미국 ... ...
- 미세먼지와의 밤샘결투 벌어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컴퓨터, 전자 회로 기판과 납땜 인두, 건축 모형을 만들 스티로폼 보드 등 다양한 무기가 등장했지요. ‘해커톤’이 뭐기에 이런 도구가 필요한 걸까요? 24시간 안에 완성하라!해커톤은 1999년 인도 캘커타 주에서 열린 컴퓨터 암호 개발 행사에서 처음 시작됐어요. 어려운 프로그래밍을 할 때 여러 ... ...
- 소프트웨어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빨리 오지 않을까요? 시민들을 움직여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소프트웨어도 해커톤에 등장했답니다! 먼둥아, ‘미세먼지 불쾌지수’ 알려줘! 옆 테이블에서는 납땜을 하고 천장에는 드론이 날아다니는 새벽, 먼지가먼지 팀은 심장이 떨렸어요. 19시간 째 컴퓨터만 만졌지 아직 눈에 띄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빛이 모두 있어야 백색 LED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청색 LED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일상생활에서 LED를 흔히 사용하기 어려웠지요. 그러던 중 1993년, 일본 나고야대학교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가 최초로 청색 LED를 개발했어요. 그뒤, 당시 ... ...
- '기생충' 생태계 주연배우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손색이 없을 만큼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요. 만약 우리 기생충들이 주연 배우로 영화에 등장한다면 어떤 영화가 어울릴까요? 기대하시라, 개봉박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생충' 생태계 주연배우가 나타났다!Part1.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Part2. 기생충의 기상천외 생존비법Part3. 기생충이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책임연구원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높아지면서 예상치 못한 구조를 가진 얼음이 등장하곤 한다”며 “더 이상 파지 못하거나 시추관이 휘어지는 등 수많은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 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날이 얼음을 눌러 고체 표면의 일부가 액체로 바뀐다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하는 ‘물의 상평형 그래프(73쪽 그래프 참조)’를 보면 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물의 상평형 그래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이 얼음이나 수증기로 바뀌는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다. 그렇다. 물은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땅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 doi: 10.1111/j.1744-7410.2007.00117.x지렁이는 천적인 두더지가 등장할 때도 땅 위로 피신한다. 두더지는 땅 밑으로만 다니는데, 지렁이는 두더지가 이동할 때 생기는 진동이 감지되면 땅 위로 올라간다. 최 박사는 “밭에서 호미로 땅을 두드리면 지렁이가 많이 올라오는데,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알게 된 내용을 교과서에 적고 나서야 개념 설명이 나옵니다. 이러니 수업 시간에 교사가 등장할 시간이 얼마 없을 수밖에요. “수업을 이끄는 것은 제가 아니라 학생들이에요. 수업 시간의 절반은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친구들의 의견을 듣습니다. 이런 수업 방식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