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엘니뇨 사냥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혼돈상태로 빠져든다. 그래서 현재 일기예보의 한계는 길어야 2주다. 그러나 바다는
부피
와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대기처럼 호들갑스럽게 변하지 않는다. 오히려 바다는 과거의 기후는 물론 앞으로 다가올 변화까지 예측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엘니뇨가 오기 몇 달 전부터 예보가 가능한 ... ...
교향악단 조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관한 물리량은 공기에 압력을 가했을 때 가한 압력을 줄어든
부피
비율로 나눈양인
부피
변화율 $B$로 나타낼 수 있다. 실제로 계산해보면 공기 중에서 전달되는 소리의 속도는 $\sqrt{\frac{B}{ρ}}$다.빛의 경우는 어떨까. 빛은 특이하게 매질이 없어도 전달되는 전자기파다. 매질이 없는데도 전자기파의 ... ...
PART1 크리스마스 악몽에서 깨어나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넓은 지역에서, 또 얼마나 깊은 곳까지 나타나는가로 구분짓기도 한다. 따뜻한 물의
부피
가 커질수록 그 상공에 위치한 대기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하므로 강한 엘니뇨로 볼 수 있다.또 엘니뇨의 지속기간도 강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다. 과학자들은 엘니뇨가 대체로 12~18개월 동안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그의 해상시계가 합격점을 받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해리슨은 시간의 오차와 시계의
부피
를 줄이기 위해서 2년 뒤인 1739년 H2를 개발하고 그 뒤 H3, H4까지 개발했다.H4는 지름이 12cm 정도로 대단히 작고 정교해 경도위원회는 이 공로를 인정해 해리슨에게 3000파운드의 상금을 수여했다. 이 시계는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중간산물이 배설되며 혈액의 pH는 산성이 된다 용질 1g 당량을 함유하는 용액의
부피
와, 그 용액의 고유 전기전도도의 곱 줄여서 당량전도도라고도 한다 강한 전해질의 농도를 작게 하면 무한 묽힘 때의 당량전기전도도에 근사적으로 가까워지므로 적당한 방법으로 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부신피질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감안하면 실제 용량은 600L 정도다.우유는 팩의 모양을 고려해야 하므로 1개당 차지하는
부피
는 250ml다. 그렇다면 600L 냉장고에 200ml 우유를 2400개(600/0.25) 정도 넣을 수 있다.어림은 인공지능, 상업 분야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최근 미국 노스웨스턴대의 프라빈 패리토시 교수는 어림을 응용한 인공지능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염소:염화수소=1:1:2이다. 게이뤼삭의 연구 결과는 압력과 온도가같을 때 같은 기체의
부피
에는 같은 수의‘원자’가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돌턴 입장에서 보면 수소 기체는 원자(H)로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염소도 염소 원자(Cl)로 존재한다. 수소기체 1L와 염소 기체 1L가 반응해 염화수소가 만들어질 ... ...
2. 디지털 솔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아직까지는 충분한 전력을 얻기 위해 배터리를 자주 바꿔야 하는 점이 불편하고, 무게나
부피
도 큰 편이다. 이에 대해 ‘펠린’을 개발 중인 프랑스의 자겜(Sagem)은 올해 72시간(3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원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한다.미국 애리조나 주의 투손 시에 있는 ‘글로벌 솔라’(Global ... ...
한국형 우주식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치약처럼 알루미늄 튜브에서 짜먹는 형태였다. 지구에서 음식을 운반하기 때문에 무게와
부피
를 줄이기 위해 건조식품이 제격이었다. 문제는 맛이 없었고 부스러기가 나와 떠다닌다는 점이었다. 건조식품에 물을 넣어 먹기도 힘들었고 튜브를 짜는 방식은 우주인들이 싫어했다.미국항공우주국(NASA ... ...
6층 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야 안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이를 이 물리량의 차원이라고 하며 괄호 안에 넣어 표시한다.예를 들어 밀도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이므로 밀도의 차원 $[ρ] = M{L}^{-3}$ 이다. 넓이 $[A] = {L}^{2}$이될것이다. 속도는 단위시간당 움직인 거리이므로 속도의 차원 $[v] = L{T}^{-1}$이다. 차원이 없는 숫자란 $[c] = {L}^{0}{M}^{0}{T}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