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합성
맞춤
혼합
구상
마춤
뉴스
"
조립
"(으)로 총 89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핑’은 나쁘기만 한 걸까요
2015.03.10
금속과 비슷해져 전자소자나 광전소자로 쓸 수 없다. 연구팀은 양전하를 띠는 자기
조립
단분자막(OTS)을 2차원 반도체 위에 증착시킨 뒤, 반도체의 전자를 끌어당겨 전자의 농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해 단위 면적(㎠) 당 1000억 개 이하로 정공 농도를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이전까지는 단위 면적 당 ... ...
‘메이드 인 코리아’ 인공위성 컴퓨터 2017년 우주로
2015.02.15
새로운 위성을 개발할 때마다 탑재컴퓨터를 신규로 개발하지 않게 만들었다. 마치
조립
식 블록처럼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을 조합해서 각각의 위성에 맞는 탑재컴퓨터를 제작하는 것이다. 송진환 AP우주항공 우주기술개발실장은 “표준형 위성탑재 컴퓨터 개발로 위성 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또 3D 프린팅은 출력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는 반면, 4D 프린팅은 출력 뒤에
조립
되기 때문에 큰 물체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문 센터장은 “3년 내에 의류나 전자기기에 4D 프린팅이 적용되고, 5년 뒤면 의료나 로봇 분야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이용해 반도체의 회로가 되는 금속선을 1nm 이하로 실리콘 기판 위에 배열했다. 자기
조립
방식이란 전기적 성질이나 화학적 성질을 이용해 나노 크기 입자들이 스스로 쌓여 특정 구조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금속선 2종류를 배열한 연구팀은 둘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전자의 ... ...
[직접 가봤습니다, ‘제2 롯데월드’ 96층] 안전성 문제 없나
2015.02.06
내려다보니 롯데월드가 손바닥만 하게 보였다. 잠실의 아파트 단지는 블록을
조립
해놓은 듯 작게 느껴졌다. 건물의 높이를 체감하는 순간 불안감이 밀려왔다. 이곳은 한창 건설공사가 진행 중인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96층. 내년 6월이면 123층, 555m까지 올라간다. 아찔한 높이만큼 최근 안전 ... ...
블록은 이런 데도 쓸 수 있답니다
2015.01.26
국내 연구진이 해수담수화 기술에 쓰이는 분리막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해수담수화 기술로는 바닷물을 분리막에 투과시켜 염분을 제거해 담수로 만드는 ‘역삼투압 방식’이 주를 이룬다. 이때 주로 사용되던 분리막은 폴리아마이드라는 고분자물질로 합성해 물리적, 화 ... ...
한국형발사체, 고(Go) 고(Go) 고(Go)~!
2014.12.26
부품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조립
절차를 결정하는 데 쓰인다. 내년 3, 4월에는 부품을
조립
해 7t 엔진을 완성할 계획이다. 75t 엔진은 내년 7월경 엔진 1호기가 완성된다. 특히 내년 3월과 6월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7t 엔진과 75t 엔진 시험설비가 각각 완공되는 만큼 완성된 엔진의 시험 작업도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유도된 물질과 올레익산으로 안정화된 산화철 나노입자의 양친성 층상
조립
박막 제조 과정의 모식도 -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제공 국내 연구팀이 화학적 성질이 완전히 다른 물질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신개념 나노복합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조진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가로세로 0.7mm짜리 평면이 마치 색종이가 접히듯 스스로
조립
돼 폭 0.2mm 길이 0.5mm 로봇으로 변신한다.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의 모습. 온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이 로봇을 만들기 위해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라는 특수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음전하(-)를 띠는 이황화몰리브덴과 양전하(+)를 띠는 고분자 전해질을 번갈아 자기
조립
하는 방식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해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에서도 빛을 내는 나노 박막을 제작했다. 실제로 이황화몰리브덴 분자를 네 층으로 쌓자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