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기
혹
헌데
암
부기
신생물
종창
뉴스
"
종양
"(으)로 총 1,07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 등장하자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3
특별한 증상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하지만 HPV16이나 HPV18 같은 고위험형은 악성
종양
을 유발할 수 있다. 자궁경부암의 원인 중 70%가 고위험형 HPV다. 연구팀은 HPV 백신 영향 모니터링 프로젝트 (HPV-IMPACT)의 일환으로 2008~2014년, 자궁경부 이형성증(자궁경부암이 되기 전 단계) 2기 또는 3기로 ... ...
[의학게시판]루푸스의 날' 공개강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등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한 번의 채혈로 25개의 유전자를 동시 검사해 대표 암 24종과
종양
증후군 17종을 민감도 99.9%로 진단하는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 분석 검사를 도입했다 ... ...
화학연, 이스라엘 신약 업체와 대장암 치료물질 기술이전 협약식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기술이전 협약식이 개최됐다. 새로 개발된 화합물을 통해 대장암 외에도 유방암, 뇌
종양
, 위암, 난소암을 위한 치료제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화학연구원 ... ...
韓·日과학자들 손잡고 위암·위염 촉진 신규 유전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증가시킨 경우에도 위암 세포의
종양
형성 능력이 크게 증가했고 반대로 억제했을 경우
종양
형성 능력이 떨어졌다. 연구팀은 “miR-135b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염증 신호(IL-1)에 의한 것”이라며 “위염이나 위암 발병할 때 miR-135b가 DNA를 손상시켜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FOXN3)와 전이 억제 ... ...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암세포로 항암제 효능 검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핏줄을 통해 전이되도록 유도했다.
종양
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하게 3D 바이오 프린팅
종양
모델도 자라게 했다. 3D 바이오 프린팅 모델은 새 항암제의 효능을 실험하거나 암세포 전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암세포가 3D 환경에서 2D 배양 환경과는 다르게 ... ...
"'고식적 항암치료' 위암 진행속도 늦추는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한다. 고식적 항암치료는 환자의 개별 상태에 따라 다르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
종양
내과 이근욱·김진원 교수팀은 국내 전이성 및 재발성 위암 환자가 받는 1차 고식적 항암치료의 치료 적용 패턴과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한 연구 결과를 대한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와 ... ...
삼켰다 꺼내는 식도암 진단 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알 수 있는 간편한 알약이 개발됐다. 스테판 멜처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의학 및
종양
학과 교수 연구팀은 줄에 매달린 알약을 삼켰다 다시 꺼내면 식도암을 진단할 식도 조직을 얻을 수 있는 ‘에소파캡’를 개발했다고 이달 22일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에 실었다. 식도암은 세계적으로 ... ...
‘초음파’를 칼날처럼… 수술 없이
종양
조직 제거하는 가능성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2
수학적 모델링 기법으로 최적화된 초음파 조사 조건을 찾으면 외과적 수술 없이도
종양
및 특정 세포만을 선택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형민 선임연구원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후 항암면역치료와 세포이식술 분야 등에도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 ...
분자 하나로 암 진단과 치료 동시에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연구팀은 “광역학 치료제가 생체 내 존재하는 혈청 알부민 단백질과 결합해
종양
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직접적인 연구결과”라며 “향후 투여된 나노물질의 체내 장기 전달 효율을 높여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는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 ... ...
'올해의 KAIST인'에 이정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네이처 메디슨’에 소개했다. 악성 뇌
종양
(암)인 교모세포종 돌연변이가
종양
이 있는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뇌실하영역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지난 8월 소개했다. 그는 난치성 뇌질환 신약개발 바이오벤처 회사인 ‘소바젠’을 설립해 난치성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