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2과목씩 수업을 들었다. GIST대학 2014년도 입학생이 152명이란 점을 생각하면, 한 학년의 3분의 2가 이곳에 와 있는 셈이다.구글에 취직하는 비결?“코딩을 이렇게 못하는 애들 사이에서 어떻게 스티브 워즈니악(애플 설립자) 같은 사람이 나오는지 궁금했어요.” UC버클리에서 여름학기 컴퓨터과학 ...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화신’이라는 헤드라인을 뽑은 언론도 있었다. 그러나 이는 매우 불충분한 연구였다. 2000년대 들어 지방도 적절하게 먹어야 하며, 다만 트랜스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조심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때 동물성 지방이 많은 버터 대신 식물성 지방으로 만든 마가린을 권했는데 실제로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맞추기 위해 ‘윤초’를 더하는 것이다. 1972년에 처음으로 도입된 윤초 제도는 작년까지 26번 사용됐다.標準時 표준시(표할 표, 준할 준, 때 시)‘표준’의 첫 글자인 ‘표할 표(標)’는 나무를 뜻하는 ‘나무 목’과, 물건이 높이 올라감을 뜻하는 ‘표’로 이루어졌다. 옛날 중국에서 종이 대신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 위성을 탐사하는 프로젝트로, 외계생명체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주스 탐사선은 2030년까지 목성에 도착해 거대한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로파와 가니 메데, 칼리스토 같은 주요 위성을 관측할 예정이다. NASA 역시 2020년 중반 유로파에 탐사선을 보내 바다의 형성 과정을 밝힐 계획이다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없다. 즉, 리만 적분이 불가능하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 수학자 앙리 르베그는 1902년 그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측도(measure)’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측도란, 특정 부분 집합에 추상적으로 ‘크기’를 부여하는 함수다. 예를 들어, 유리수와 무리수들의 집합의 ‘길이’를 측도로 ... ...
-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나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녀가 사용하는 모신나강(Mosin Nagant)은 구소련의 대표적인 저격총입니다. 1891년 세르게이 모신 대위와 총기 엔지니어인 레옹나강이 함께 만든 총인데, 현재까지 3700만 정이 생산됐습니다. 사거리가 길고 파괴력이 좋아 저격용으로 많이 사용됐는데, 영화에선 한국 독립군도 어떻게 그 총을 입수했나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베지는 태양광 대신에 LED 불빛을 이용하며, 온도와 습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치다. 2014년 NASA가 우주선에서 안전하게 채소를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veg-01’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설치됐다.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베지에서 자란 상추는 지난해 10월 지구에서 안전성 검사도 ...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직 20대인 당신의 혈액엔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 있거든요.기: 근거는?그: 2005년 미국 스탠퍼드대 이리나 콘보이 박사는 늙은 쥐와 젊은 쥐의 혈관을 연결했어요. 그러자 늙은 쥐는 근육의 상처 회복 속도가 빨라졌고 근육줄기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죠.기: 대단하… 응? 근데 ... ...
- [Hot Issue] 굿바이 M16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FN과 독일의 총기 제조사인 H&K는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도입해 90년대 소총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가늠자와 가늠쇠로 조준하는 기계식 가늠쇠 대신에 조준점이 바로 보이는 도트사이트, 주야간 조준경, 적외선 조정장치 등 소총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는 최근 들어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디스플레이는 1990년대부터 연구가 돼 왔고,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도 2000년대 초반부터 거론됐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태껏 상용화에 성공하지 못하셨는데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3D 그만큼 기술적인 어려움이 많습니다. 아이디어는 간단해요. 입체안경을 디스플레이에 ... ...
이전8398408418428438448458468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