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메이븐, 화성 비밀 밝힐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화성의 대기가 사라진 원인을 찾기 위해 11
월
19일 현지시각 탐사선 메이븐(MAVEN)을 발사했다. 내년9
월
화성에 도착할 예정인 메이븐은 과거 화성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두껍고 습기 많은 대기가 왜 사라졌는지 연구할 예정이다.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크리스마스가 되면 문 앞에 큰 양말을 걸어둔다. 밤하늘을 날아 찾아오는 산타클로스의 선물을 받기 위해서다. 산타가 깜깜한 북극의 겨울하늘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것은 바로 ... 대처하며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B’ 10
월
30일자에 실렸다 ... ...
과학기술 인재에게 싱가포르는 기회의 땅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ICT), 재료·제조공학 분야의 인재들을 대상으로 열었다. 영국인인 버틀러 교수는 1999년 9
월
부터 난양공대 기계항공공학부에 재직하고 있다. 인터뷰는 이메일로 진행됐다.“싱가포르의 좋은 점은 문화가 다양하고 주류 인종 문화가 없다는 점입니다. 특정 문화에 따라야 한다는 부담감이 없어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폭발로 7000여 채의 건물이 훼손되고 1600여 명이 다치는 사건이 있었다(과학동아 2013년 3
월
호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기사 참조). 운석이 무더기로 쏟아졌다 하여 ‘러시아 운석우’ 사건으로도 유명하다. 1908년 시베리아 퉁구스 대폭발 이후 가장 강력한 소행성체 충돌로 기록된 이 날의 ... ...
필리핀 슈퍼태풍, 한반도에도 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위치와 진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참 운이 좋았구나 하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10
월
에 온 다나스 외에도 최소한 3개의 태풍이 우리나라를 향해서 움직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부근의 기압 분포가 조금만 달랐더라도 이 태풍들은 우리나라에 상륙했을 것이다.가장 먼저 4호 태풍 리피(6
월
)를 ... ...
의료기기와 첨단 기계로 만드는 공룡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이런 안타까운 상황에 닥쳤다면 어떤 기분일까.독일 미테대 아이 데마 이세버 박사팀이 11
월
20일 ‘방사선학’지에 발표한 연구를 보면 화석을 복원하다가 실수로 원본을 깨버리는 일이 없을 듯하다. 의료 기기와 첨단 프린터를 이용해 화석을 복원하는 방법을 찾았기 때문이다.연구팀이 이용한 ... ...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재료공학]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바이러스를 이용해 고효율 배터리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재료공학과 앤젤라 벨커 교수팀 ... 높이는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
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영상에서 숲에 해당하는 부분만 따로 골라 13년 동안의 면적 변화를 계산해, 그 결과를 11
월
15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분석 결과 13년 동안 세계에서 한반도 면적의 10배가 넘는 230만km2의 숲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새로 조성되는 숲은 그 3분의 1인 80만km2에 불과했다. 특히 ... ...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온다. 밝은 달이 없고 맑은 하늘이라면 아이손 혜성의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내년 1
월
에는 지구가 아이손 혜성이 지나간 곳에 들어서면서 혜성의 부스러기가 수많은 별똥별로 변해 밤하늘을 수놓는다.지금까지 관측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예상만큼 밝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 ...
개의 기원은 아시아가 아니라 유럽?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유럽이며, 최소 1만 8000~3만 년 전 인간에게 길들여졌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1
월
15일자에 발표했다. 1만 5000년 전 아시아나 중동 지역에서 출발했을 거란 기존 학설을 뒤집은 것이다.인간과 가장 친한 동물인 개는 원래 ‘늑대’에서 출발했다. 야생을 누비던 거친 늑대가 어느 시점부터 ... ...
이전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