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적게 탄 차보다 충돌한 뒤 속도 변화량이 적어 덜 다칠 수 있고, 소형차보다는 질량이
큰
중형차가, 중형차보다는 대형차가 충돌한 뒤 더 안전하다.간혹 차체가 튼튼하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광고하는 경우가 있는데, 충돌했을 때 차체가 찌그러지는 정도는 줄어들겠지만 속도 변화가 줄어드는 것은 ... ...
구름의 변심,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서로 뭉쳐서 떨어질 만큼 많은 양의 수증기가 없지만 공기 중의 수증기와 결합하면
큰
비를 뿌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공기 중의 수증기와 구름 속의 수증기는 섞이지 않고 분리돼 있다. 하지만 여름에 소나기가 내리듯이 대기가 갑자기 불안정해지면서 난기류가 발생하면 공기 중의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전혀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비선형 항에 의해 변수 값의 작은 변화가 결과 값에
큰
변화를 미치는 효과를 '나비 효과' (북경에서 나비가 펄럭이면 뉴욕에 폭풍이 몰아친다)라고 한다유럽과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동전화 시스템 GSM은 시분할 다중접속(TDMA)의 변종으로, TDMA·CDMA와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TV가 나왔지만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사라졌다. 하지만 오늘날 지상파 DMB는 휴대용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둘의 운명이 달라진 이유는 뭘까.과거엔 송신탑에서 보내는 TV 방송신호를 가정에 설치된 안테나로 받아 TV를 시청했다. 그래서 실내보다 실외에 안테나를 설치해야 수신이 잘 됐다. 하지만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식중독의 원인균은 노로바이러스로 밝혀졌는데, 원인식품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큰
문제다.실제로 식중독 사고에서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특히 요즘처럼 물류 시스템이 발달해 한 지역의 식재료가 전국으로 쉽게 퍼지는 상황에서는 원인식품을 확인하기가 더욱 어렵다. 대규모의 식중독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科) 식물들과 유전자 배열이 90% 가량 같고 게놈 규모도 가장 작아 다른 작물 육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토마토와 고추의 2번 염색체는 유전자 배열이 유사하다”며 “토마토가 고추와 다르게 단맛을 내는 이유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놀라운 변신! 배추+양배추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속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공기 중에서는 1초에 340m를 갈 수 있다. 한편 공기보다 밀도가
큰
물 속에서는 소리의 속도가 훨씬 빨라 수온 8℃에서 1초에 평균 1435m를 이동하는 속도로 전달된다. 물보다 밀도가 높은 쇠파이프에서는 1초에 약 5000m나 갈 수 있다. 해수에서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는 수온,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퍼텐셜에너지라는 말로 쓴다.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절벽 위에
큰
바위가 있고 그 밑에 사람이 서있다면 공포를 느낄 것이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데 왜 그럴까. 바위가 떨어지면서 몸에 부딪쳐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작용하는 모든 힘에 대해 퍼텐셜에너지를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있도록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약재를 이용한 처방을 적어놓음으로써 의학의 대중화에도
큰
기여를 했다.실학의 선구자 홍대용(1731〜1783)세종대왕 때 이룩한 독자적인 과학 발전은 조선 후기에 들어 그 빛을 잃고 만다. 바로 중국과 유교에 대한 지나친 숭배가 그 원인이었는데 홍대용은 당시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있을까요? 보통 물방울은 물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인 분자들이 서로 잘 달라붙기 때문에
큰
방울을 만들기 어려워요. 속이 텅 빈 방울을 만들기 전에 서로 달라붙을 테니까요. 그러나 물에 비누를 풀면 물 분자 사이에 비누 분자들이 섞여 들어가서 물 분자가 쉽게 뭉치지 못해요. 그래서 얇은 막으로 ... ...
이전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