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뉴스
"
9
"(으)로 총 14,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201
9
년 11월 중순 남쪽 하늘로 넘어갔다. 한국에서는 올해부터 볼 수 없게 됐다. 올해
9
월까지는 천문학자들이 혜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리소프는 다른 태양계 내 천체와 달리 쌍곡선을 그리며 태양계를 빠져나간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이번 관측 결과는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 ... ...
[영상+]"첫 발사까지 앞으로 1년" 누리호 개발 산실 나로우주센터를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눈에 들어왔다. 전영두 항우연 발사체체계종합팀장은 “누리호 1단은 나로호의 지름(2.
9
m)보다 큰 3.5m에 이른다”고 했다. 누리호 크기를 가늠해볼 만했다. 이날 공개된 1단에는 아직 75t 엔진을 설치하지 않고 연료 배관만 완성된 상태다. 나로호 1단에는 엔진 1기가 들어갔지만 누리호 1단에는 75t급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하는 인간의 끊임없는 노력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메이는 지난 2016년
9
월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1
99
1년 발견된 ‘소행성 17473’의 이름을 ‘소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로 변경하는 역할도 주도했다. 국제천문연맹(IAU)에 변경을 요청했고 IAU는 이를 받아들였다. 메이는 200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충돌구를 만든 소행성 충돌의 여파로 급격한 환경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지난해
9
월 미국 텍사스대를 비롯한 국제 대륙 과학 시추 프로그램(ICDP) 연구진은 칙술루브 충돌구를 굴착해 충돌구가 일으킨 당시 상황을 재구성했다. 충돌로 인해 바위가 녹고 물이 밀려오며 수 시간만에 130m 높이의 ... ...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2038년 완전히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자국 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
99
0년 대비 55% 수준까지 감축한다는 목표다. 현재 전력을 생산하는 대표적 발전 방식인 갈탄 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을 모두 완전히 종료하기로 결정한 지구상의 첫 번째 국가가 됐다. 올라프 숄츠 독일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아니라 복잡하고 미세한 감각까지 구현하는 게 가능해졌다. 대표적인 게 지난해
9
월 김도환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촉각세포의 세포막 구조와 외부 자극에 따른 생체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모방해 개발한 인공 촉각 세포다. 미세한 세포 수준까지도 모방한 연구사례가 늘고 있지만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있는 해안 동굴 ‘그로타 데이 모스세리니’에서 발굴된 조개껍데기를 분석했다. 약
9
만년 전 이 동굴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들은 조개로 예리한 도구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동굴에서 나온 171점의 도구를 분석했다. 이들은 모두 이 지역에서 나오는 백합조개로 1
9
40년대 말 ... ...
5G에서 AI로 무게추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제공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과기정통부는 또 데이터3법 국회 통과와 맞물려 201
9
년 1458건에 그쳤던 빅데이터 개방을 올해 30
9
4종으로 대폭 확대한다. 공공 데이터 확대로 인해 생길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 문제 소지를 없애기 위한 비식별화 기술 및 개인정보보호 기술 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 ...
최기영 장관 '혁신'만 74차례 언급했지만…R&D특별법 처리 안갯속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대 국회에서 접수된 법안의 수는 2만 3733건에 이른다. 이는 1
9
대 국회 때 접수된 법안 수 1만 8
9
26건보다 25% 이상 증가한 수다. 처리될 법안 수는 역대급으로 늘었지만 처리율은 낮은 상황으로, 법안의 통과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 상태다. 과기정통부는 아직 특별법 통과에 ... ...
R&D 24조 시대, 기초과학·AI·젊은·과학자 지원 더 속도 낸다
2020.01.16
지난해 12월 마련한 AI 국가전략을 본격 추진하는 것도 올해 주요 전략 가운데 하나다. 202
9
년까지 1조 원을 투자하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분야 기술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뇌 구조와 비슷한 메모리 중심 컴퓨팅 반도체인 PIM 등 신개념 AI 반도체 개발을 추진한다. 광주광역시에 AI 집적단지를 ... ...
이전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