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뉴스
"
목표
"(으)로 총 6,69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물질로 뇌전증 진단·망막질환 치료 부담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캡슐 형태로 저장해 주입하는 방식이다. 나노물질이 치료 성분을 보호하기 때문에
목표
부위까지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고 산화 스트레스가 감지될 때만 성분을 방출하기 때문에 효과 지속 시간도 길다. 이태걸 나노바이오측정그룹 책임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의료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 ...
KAIST, '딥러닝 대부' 벤지오 교수와 AI 연구센터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AI에 통합하는 기술인 ‘프리프론탈 AI’를 구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
다. 이번 연구에는 홍승훈 KAIST 전산학부 교수와 안성수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도 공동 연구진으로 참여한다. 홍 교수는 시스템2 메타 학습 알고리즘을 연구하며 안 교수는 시스템2 기능을 과학을 위한 ... ...
"바이오 산업·연구 고도화하려면 첨단 소재 인프라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소재 자원은행 거버넌스를 의미한다. 성 소장은 "이전에는 기술을 따라가는 것이
목표
였다면 이제는 어떤 분야를 어떻게 접근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바이오 과학·산업 분야의 고도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개인 연구자의 역량 못지않게 많은 정보가 통합된 인프라 환경이 필요하다"며 ... ...
증기 발전 대체할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성능 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소형모듈원자로의 동력변환계통 적용을 위한 초석을 다진 것”이라며 “본 연구의 최종
목표
인 총 전기 출력 500kW 생산을 올해까지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 ...
손가락 감싸면 자동 충전에 포도당·비타민 체크하는 웨어러블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9.03
“자율적인 힘으로 작동하는 장치를 이용해 건강을 감시하고 치료도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
”라고 밝혔다. doi.org/10.1038/s41928-024-01236- ... ...
공작기계 ‘핵심' 구동계 기술 국산화…연간 3000억원 규모 수입대체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9.03
구동계 기술을 선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구동되는 산업용 로봇도 실증화하는 것이
목표
다. 김홍주 전기연 정밀제어연구센터장은 “기존 제조업은 물론이고 미래 모빌리티, 로봇 등 국가 전략산업이 대부분 정밀 기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가공하는 장비·기기의 기술 ... ...
한국인 첫 리켄 수석과학자 김유수 교수, IBS 신임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방법론을 통해 양자 변환 현상에 의해 발현되는 혁신적 기능과 물성을 창출한다는
목표
를 갖고 있다. 김 단장을 통해 한일 공동연구 또한 적극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김 단장은 “촉매, 배터리, OLED 등 인류에게 편의를 가져다준 기술의 기저에는 모두 고체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연구해 온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
2024.08.31
이득은 짧고 비용은 오래간다”고 한다. ⑩ 체계성: 일을 계획하고
목표
를 수립하며
목표
달성까지의 상황이 순조로운지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어도 의도치 않게 미루는 현상이 발생한다. 어떤 일을 언제 해야 적절한지에 대한 청사진을 짜지 못하기 때문에 주먹구구식으로 한 달 걸릴 ... ...
[동물do감] 짝짓기 앞두면 위험에 무뎌지는 '이 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오르는데 정상에 가까워졌다고 상상해 보라"며 "날씨가 변해 상황이 위험해지더라도
목표
에 가깝기 때문에 위협을 무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4-07890- ... ...
[사이언스게시판] 에너지연,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제공 시간을 기존 8시간에서 24시간으로 대폭 확대해 이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
다. 올해 시범운영을 거쳐 202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재상 양성자과학연구단장은 "접근성을 확대하여 중소기업이나 신진 연구자에게도 이용 기회를 늘리도록 노력하겠다"고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