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48건 검색되었습니다.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반면 독감은 증상도 심하고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도 정해져 있어 백신이 나온 지도 반
세기
가 넘었다. 보통 백신으로 활성이 없는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인체 면역계는 바이러스 표면 분자를 이물질로 인식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백혈구(B림프구) 숫자를 늘린다. 그 결과 표면구조가 비슷한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래도 석유값이 많이 오르긴 했는데 그 해결책으로 부상한 게 재생에너지가 아니라 20
세기
들어 석유에 1위 자리를 빼앗긴 석탄이다. 특히 에너지 블랙홀인 중국의 석탄의존도는 급격히 늘어나 전세계 석탄생산량의 절반이 중국에서 태워진다고 한다. 오늘날 중국과 (급부상하는 또 다른 에너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0
세기
초반까지 세계 과학을 이끌고 있던 유럽은 나치가 득세하고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그 주도권을 미국으로 넘겨주게 된다. 종전 뒤 오늘날까지 미국은 확고한 1인자로 권좌를 유지하고 있다.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 25명의 국적 분포가 이런 역사를 잘 설명한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분명히 했다. 15. 루이즈 존슨 (1940. 9.26 ~ 2012. 9.25) 구조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결정학자 20
세기
후반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게 만든 두 축은 분자생물학과 구조생물학이라고 할 수 있다. 클로닝(제한효소를 이용해 DNA를 조작하는 과정)과 PCR(중합효소연쇄반응)로 대표되는 분자생물학 기법이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제공 짐승은 목이 마르지 않으면 물을 한 방울도 마시지 않는다. - 출처 미상 18
세기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을 비롯한 불멸의 철학서를 써 ‘철학=칸트’라는 인상을 남겼지만 기이한 습관으로도 유명하다. 즉 칸트는 평생 고향 쾨니히스베르크를 떠나지 않았고 ... ...
창조경제와 벤처 생태계
KOITA
l
2013.04.25
바로 스마트 생태계 기반의 산업 구조를 의미한다.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여 21
세기
한국을 이끌어 갈 “벤처 르네상스” 프로젝트가 필요한 때가 되었다. 1995년 벤처협회 설립 이후, 1996년 코스닥 설립, 1997년 벤처기업 특별법을 통하여 한국 벤처 발전의 양대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코스닥의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모르고 방사선 피폭으로 죽어갔을 것이다. 아직 관련 기술이 충분하지 않았을 때인 20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방사선은 물리학자들을 꽤 괴롭혔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물리학자, 마리 퀴리만 해도 중년부터 방사선 피폭으로 고생했으며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가했던 물리학자인 해리 K. 더그힐란 2세는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한 사람은 잉크를 바르고 한 사람은 인쇄를 했다. 인류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준
세기
의 발명이 흔한 농기구를 간단히 변조해 만들어진 것이다. 구텐베르크는 이렇게 목활자를 이용하여 『선량한 사람(Bonus Aomo)』을 찍어 또 다시 대성공을 거두었다. 때마침 그에게 천재일우의 기회가 다가왔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전까지 서구인들은 지구상에서 야생말은 멸종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하지만 15
세기
독일의 탐험가 요한 실트베르거가 몽골에서 특이하게 생긴 야생말을 봤다는 기록을 남겼기 때문에 프리제발스키는 몽골 초원의 말들을 유심히 관찰했고 마침내 1879년 그 야생말을 발견한 것이다. 1881년 생물학자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강조했다. ●생명공학 발전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 교육과학기술부 21
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중 하나인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양 단장은 생물리화학을 전공하고 15년간 의과학, 신경생물학 등 생명공학의 다양한 분야를 두루 거친 전문가다. 이 ... ...
이전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