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스페셜
"
억제
"(으)로 총 98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
2018.02.24
해서 잘 되는 성격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식욕이라는 궁극의 욕구를
억제
하고 다이어트에 돌입하는 경우 무조건 식욕을 억누르며 자기통제력을 풀 파워로 가동하는 것과, 다른 여러가지 방법(맛있고 저칼로리인 식단을 고안하거나 고칼로리 음식에 주의가 가는 경우 주의를 돌릴만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알려졌다. 그런데 이런 깔때기그물거미의 독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호주 퀸즈랜드대 연구팀은 뇌졸중을 앓는 쥐들에 깔때기그물거미 독에서 추출한 단백질 ‘Hi1a’를 주입했다. 그리고 2시간 뒤, 80%의 쥐에서 뇌 손상이 완화된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감도를 둔화시키면서까지 피해야 할 독이라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특정유전자 발현을
억제
하는 ‘RNA간섭’ 방법으로 감각에 관여하는 수용체들을 조사했고 그 결과 IR25a, IR62a, IR76b 세 가지 수용체가 칼슘맛을 감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초파리는 주둥이 끝에 난 털을 통해 맛을 느끼는데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약물이 모든 세포에 영향을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신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
를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화 한다면 극단적으로 노화 속도가 지연되는 신인류가 탄생할지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사실이 밝혀졌는데 그 메커니즘은 달랐다. 즉 RT027은 treR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 전사
억제
력이 떨어진 결과이고 RT078은 ptsT 유전자를 획득해 트레할로스를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 결과다. - ‘네이처’ 제공 트레할로스 대사 과정에서 독소 많이 만들어져 그렇다면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희망을 주고 있다. 2007년 학술지 ‘의약화학저널’에 sEH의
억제
제 t-AUCB가 먹는 약물로 쓸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보고한 논문이 실렸지만 사람에 적용할 수 있을지는 아직 장담할 수 없다. 이번 연구결과는 건강문제를 다룰 때 ‘오메가3는 몸에 좋고 콜레스테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와 더불어 고유망각 과정을
억제
하기 때문이다. 이스쿠이에르두는 “진짜 망각은 뉴런이나 시냅스의 폐기 또는 소멸에서 비롯된다. 그것은 기술이 아니다. 우리의 의지는 시냅스나 뉴런, 세포의 죽음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라며(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예측(다들 과학논문에 실린 내용이다)은 의미가 없는 말이라는 것이다. 물론 최근 노화를
억제
하거나 되돌리는 연구가 한창이지만(구글도 뛰어들었다) 언제 이런 약물이나 치료법이 임상에 적용돼 효과를 볼지는 아직 미지수다. 예를 들어 지난 2014년 ‘젊은 피’ 회춘 동물실험이 화제가 됐다.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세포사멸을
억제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
할 경우 암세포의 증식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기존 약물 가운데 그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았고 구충제인 이버멕틴이 걸렸다. 원래 이버멕틴은 무척추동물(기생충)의 신경세포와 근육세포의 막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두 방에서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봤다면 백색광 조명 방이 청색광 조명 방보다
억제
를 더하면 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이다. 백색광 방의 경우 멜라놉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파란빛의 양은 똑 같고 여기에 녹색빛과 빨간빛이 더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반면 파란빛에 녹색빛과 빨간빛이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