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제와 삶의 질 원천은 기초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높여주는 일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올해 연구회 산하 기관의 전체 연구원 가운
데
10%가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도록 만드는 동시에 도와주고 밀어주고 끌어주자는 ‘도밀끌 운동’을 계속해 타 분야 과학자를 칭찬하는 사람(추임새 상)이나 창의적 우수 연구원(다빈치 상)에게 더 많은 상을 줄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지방산과 결합하여 왁스의 성분이 된다 혼합물 중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는
데
쓰는 막 혼합기체 중에서 특정 분자라든가 용액 속에서 특정이온을 분리할 수가 있다 고분자로서 화학적 · 전기적 · 기계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가진 수지 기능성고분자라고도 한다 지구상의 기압분포에서 위도 30도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00km짜리 소행성(또는 혜성)을 갖고 시뮬레이션을 했다.먼저 궤도를 바꿔 지구로 향하는
데
소량의 에너지가 드는 소행성을 찾는 게 좋다. 소행성에 역추진로켓을 장착해 지구 근처로 향하는 궤도로 바꾼다. 지구는 소행성이 지나갈 때 궤도 에너지를 얻어 태양에서 약간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이는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칼슘통로’라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결여된 쥐는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한다. 그런
데
이 단백질의 경우 사람도 쥐와 비슷한 조직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그 기능도 유사할 것이다. 이 유전자가 결여돼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생쥐가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므로 단백질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걸 알아 냈지요. 게다가 뼈의 구조와 이빨 성분은 하마처럼 물 속을 천천히 거닐며 사는
데
적당했어요. 테비센 교수에 따르면, 원래 초식동물이었던 인도휴스가 얕은 물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면서 점차 물 속 생활에 맞는 구조로 진화했을 거래요. 그러니 고래의 조상이 오늘날 고래를 본다면 ... ...
“파란색을 못 봐요~!” 딱정벌레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구했어요. 그 결과 다른 곤충들이 자외선을 포함해 파란색과 붉은색을 구별하는
데
비해, 이 딱정벌레는 파란색에 반응하지 않았어요. 연구팀은 딱정벌레의 눈에 파란색을 감지하는‘옵신’이 부족하다는 걸 알아 냈어요.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면서 진화한 거지요. 이러한 연구는 곤충이나 해충의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문 제작자가 공급하는 것과 사용자들이 작성한 것으로 크게 나누는
데
, 첫째 것을 여 러 사용자들이 공용한다는 뜻에서 공용프로그램이라고 한다원자가 모두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결정 금강석이나 탄화규소가 그 예이다공유결합을 만드는 원자에 편의적으로 일정한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다가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지구의 기온을 빠르게 높인다. 지구가 얼음으로 덮이는
데
는 시간이 걸리지만 얼음이 녹는 일은 순식간이라는 얘기다. 이런 현상은 태양과 대기, 바다처럼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돼있기 때문에 벌어진다.“밀란코비치 주기 대로라면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한다”고 말했다.하버드대 대니얼 길버트 교수는 “사람들의 행복이 남과 비교하는
데
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오늘날 대중매체는 예외적으로 부유하거나 성공한, 또는 아름답거나 권력을 지닌 사람들을 집중조명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런 사람들이 흔한 것으로 ... ...
밥상 안전, 벌레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농민의 건강을 지켜주고, 육체노동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 농약 남용으로 오염된 토양과 하천의 수질을 살려내 생태계를 복원시켜 주는 친환경 농법으로 공익적 기능도 매우 크다.영국에서는 1926년 해충방제에 천적을 사용한 적이 있다. ... ...
이전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