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항체를 분리해 배양하고, 또 임상실험까지 마쳐 치료제를 생산하는 데에는 적어도 5~10년은 걸린다. 지금 당장은 해결책이 될수 없다. 그래서 적은 양의 항체라도 들어있는 완치자의 혈장을 주입하는 것이다. 신종플루, 사스, 에볼라에 이 방법을 사용해 환자의 상태가 개선된 사례도 있었다. 지난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그러다 우연히 디박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들게 됐다. 대략 10년 전쯤이다.Q 디박이 우리나라 최초의 표절 검사 프로그램인가A 이전에도 표절 검사 프로그램이 있긴 했다. 문서에 특정 단어가 나타나는 빈도수를 세서 표절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쉽고 간편하지만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선체는 진도 팽목항에 전시돼 추모공원으로 사용될 계획이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작년 12월부터 3개월간 50명이 넘는 연구자들을 투입해 맹골수도 일대를 현장조사했다. 조사를 총괄한 이용국 센터장은 이런 이야기를 했다. “원래 겨울에는 바다날씨가 험해 조사를 하지 않습니다. 이번엔 인양을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런데 그런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실록은 고급 한지로 만들어졌고, 한지는 ‘1000년을 간다’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정말 빛도 바래지 않게 보존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조선시대 때 일부 실록에 한 추가 조치입니다. 벌레나습기 피해를 방지하고 보다 잘 보존할 목적으로 밀랍을 입힌 것입니다. ... ...
- 광물이야기 ⑤ 오팔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물 분자와 결합해 불규칙하게 배열되면서 나타난다.*편집자 주 : 과학동아 2015년 7월호 지면에 실린 '광물이야기' 오팔 편의 사진은 편집 상의 오류로 다른 광물이 잘못 게재됐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점 정중히 사과 드리며, 현재 웹에서 보시는 광물이 기사 속 오팔임을 알려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바다 내음도 맡으며.3.열과 전기자극으로 느끼는 6가지 맛 (개발 중)싱가포르 연구진은 내년 상반기 이전 상용화를 목표로 가상미각 장비 ‘Taste+’를 개발하고 있다. 텀블러나 숟가락 모양으로 생긴 이 장비는 입이 닿는 부위에 전극이 설치돼 있다. 액체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혀에 ... ...
- 에볼라 No! ‘필로바이러스 관련 출혈열2’라고 불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천연두가 이런 사례다. WHO는 증상(호흡기 질환, 수인성 설사 등)이나 환자의 특징(청소년, 산모, 계절성, 해안성 등), 병원체 등에 기반해 새로운 질병의 이름을 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에볼라 바이러스를 ‘필로바이러스 관련 출혈열2’로 부르는 식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앞으로 질병 이름 짓기가 ... ...
- 꽈~악! 악력 클수록 더 건강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캐나다 맥매스터대 인구보건연구소 데릴 렁 교수팀은 해밀턴 보건과학병원과 공동으로 4년 동안 17개국 35~70세 성인 14만 명의 악력을 측정하고, 그 수치를 환자들의 질병과 비교했다. 그 결과 악력이 5kg 감소할 때마다 사망 위험이 17%씩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악력이 감소하면 평소 ... ...
- 가짜 백수오 논란의 중심 ‘이엽우피소’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엽우피소를 독성식물로 분류한다. 한국소비자원이 소개한, 중국 난징철도기술대의 1998년 논문에 따르면 쥐에게 이엽우피소를 투여하면 간 기능 손상, 체중 감소 등의 문제를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백수오의 독성을 검사하는 데에 회의적이다. 장기독성검사와 부검, 병리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한 결과다. 특히 B중간자가 붕괴해 만들어진 2개의 뮤온 입자를 검출하는 데는 한국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뮤온 검출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
이전8558568578588598608618628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