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계월
현토
d라이브러리
"
일개월
"(으)로 총 1,843건 검색되었습니다.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11
지난 9월 7일 미 생명공학기업인 시르나(Sirna)는 생명공학계를 한바탕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퇴행성 각막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한 신약의 임상시험 허가를 미 식약청(FDA)에 요청했기 때문이다. 신약을 상용화시키려면 임상시험 허가는 당연히 거쳐야할 과정이다. 그런데 유독 시르나사의 신약이 화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동그란 고리가 달린 막대에 비눗물을 묻히고 입으로 ‘후’ 불면 커다란 비누거품이 방울방울 쏟아져 나오는 놀이를 한번쯤 해봤을 것이다. 커다란 거품이라도 생긴다면 오색찬란한 모습이 여간 아름다운 게 아니다. 우주에도 이런 거품이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지난 10월 6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여보! 배가 너무 아파….”임신 중인 아내가 갑자기 배를 부여잡고 쓰러진다. 화들짝 놀란 남편은 아내를 업고 허둥지둥 산부인과로 달려간다. 예정일이 아직 4개월이나 더 남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진통에 남편의 머릿속은 걱정으로 가득하다.“아기가 나오기 직전입니다, 조산이에요!”“뭐라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2007년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최근 과학기술부가 발표한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 사업’ 이 국민적인 축제로 부각되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남녀노소 누구나 응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오는 12월 서류전형을 시작으로 4단계의 심사 과정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11
1859년 11월 24일 영국의 머레이 출판사는 뜻밖의 행운을 잡았다. 찰스 다윈의 저서 ‘종의 기원’ 1천2백50권이 발간 하루 만에 모조리 팔려 나갔기 때문이었다. 이후 7년 만에 1만6천여권이 팔렸고, 스페인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보헤미아어 등 세계 각국어로 번역됐다. ‘종의 기원’은 당시 출판계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소금쟁이처럼 물위를 걷는 로봇이 조만간 출현할 전망이다. 지난 9월10일 미국 카네기멜론대 나노로봇공학 연구팀 메틴 세티 교수는 “물에 떠서 앞뒤로 걷는 로봇을 개발했다”며 “6개월 내에 좀더 복잡하고 완성된 형태의 로봇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평균 0.5인치의 몸통, 2인치 길이의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10
올 여름은 유난히 흐리고 비가 많이 왔다. 6월 7일 장장 54개월에 걸친 보라호 개발 프로젝트가 일단락을 지었지만 시험비행은 한차례도 이뤄지지 못했다.6월 19일 한국항공대 황명신 교수(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와 은희봉 교수(항공운항학과)는 처음으로 보라호의 조종키를 잡았다. 10분간 시험비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10
2014년 10월 1일. 김석유씨의 아침은 석유통을 들고 주유소 앞에서 긴 줄을 서는 것으로 시작한다. 기름값이 배럴당 2백달러를 넘으면서 정부는 ‘석유 배급제’ 를 실시했다. 자동차는 폐차한지 1년이 넘었고, 지하철도 예전 택시처럼 비싸 그는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동료가 부럽다. 10시가 넘으면 불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10
건물과 도로가 빼곡이 들어선 서울 사람들은 이번 여름에도 다른 지역 사람보다 더위를 더 먹어야 했다. 실제로 지난 8월 1일부터 16일까지 서울은 9번의 열대야를 치른 반면 서울보다 위도가 약간 낮은 수원은 4번의 열대야가 있었다. 좀더 시골로 가면 열대야는 거의 없다.1천만명 이상의 사람이 ... ...
애완동물 배설물은 세균 덩어리
과학동아
l
200409
온식구의 사랑을 한몸에 받던 애완동물이 졸지에 천덕꾸러기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애완동물 배설물에 사람에게 해로운 세균이나 기생충이 득실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한국소비자보호원과 서울대 수의과대는 수도권 가정에서 기르는 애완견과 이구아나의 배설물을 검사한 결과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