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신경
아마천
린네르
실
힘줄
솜털
d라이브러리
"
섬유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적당히 변형시킬 경우 이들이 뭉쳐서 매우 높은 광학활성을 갖는 나선형의 나노
섬유
를 얻을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수많은 자기조립 분자가 뭉쳐 초분자를 이루는 원동력은 바로 ‘2차결합력’. 일반적인 화학반응에서는 분자들끼리의 ‘공유결합력’으로 화합물이 만들어진다.“2차결합력은 ... ...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떠난 빛은 서부의 캘리포니아주 산마리노시까지 전달된 뒤 1만6000km의 태평양 해저 광
섬유
케이블을 타고 왔다. 이는 거리가 너무 멀어 눈에 보이는 빛을 직접 전달할 수 없는 국가간에는 전화선을 이용하기로 한 약속을 따른 것이다.부산에 도착한 빛은 이후 약 40분간 포항, 대구, 전주, 대전, 청주를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마스는 1L로 40km를 달릴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연비 기록을 가진 친환경 컨셉트카. 탄소
섬유
로 된 차체와 공기역학을 고려한 유선형 차체가 이를 가능케 했다. 연료전지로 달리는 키와미는 미래형 세단. 차체를 최대한 낮추고 실내 공간을 넓혀 승차감을 높였다.도요타 렉서스는 ‘럭셔리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나온 것이다.이 쌀은 식이
섬유
함량이 일반 쌀보다 3배나 많다. 이점호 박사는 “식이
섬유
는 소화가 잘 안돼 이 쌀을 먹으면 배는 부르지만 살이 잘 찌지 않는다”고 말했다. 작물연구원은 라이신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쌀 등 다양한 참살이 쌀을 개발하고 있다.식물공장이 만들어낸 가장 유명한 쌀이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체중조절에 제격인 식품이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버섯. 버섯은 질감이 고기와 비슷하고
섬유
소도 많아 쉽게 포만감을 준다고.체중조절 드림팀 후보선수비만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그 효과에 대해 다른 견해를 보이는 식품들을 모았다. 이 식품들에 대한 향후 연구결과를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실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 비행기는 벌집 모양으로 된 아라미드
섬유
와 가벼운 탄소
섬유
로 만들어졌다. 가벼운 대신 기상에 영향을 받기 쉬워 포셋은 몇 달동안 비행에 가장 좋은 날을 기다려야 했다.두 날개는 폭이 좁고 매우 길다. 최대한 적은 연료로 오래 날 수 있도록 공기역학적으로 ... ...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등 지금까지와는 판이한 의복이 출현하기 시작했다.특히 스포츠 의류에서도 여러
섬유
를 덧대거나 이음선을 없애는 등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독특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다. 몸의 각 부분을 고정시켜 몸매를 고르게 유지하면서도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다기능 옷은 인체공학기술과 패션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40~50%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한다 인류가 개발한 최초의 플라스틱 니트로셀룰로오스(질산
섬유
소)와 장뇌(樟腦)를 합쳐 만든다니트로셀룰로오스가 장뇌 속에 녹아 들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주파수 스펙트럼의 시간적 변동을 기록하는 장치 자기녹음용 금속 원반에 짧은 시간(약 24s) 녹음하여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생성될 수 없다고 굳게 믿었다.1984년 영국의 모린 오웬 박사는 골수에서 뼈, 연골, 지방과
섬유
조직을 구성하는 간엽줄기세포의 개념을 제시했다. 1995년 미국의 프레드 게이지 박사는 뇌의 해마에서 신경줄기세포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뇌에 이식하면 성숙한 신경세포로 분화될 수 있음을 ... ...
세계일주 단독 비행 이륙 준비 끝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기술과 제트추진 기술이 사용됐다. 특히 좀더 가볍고 튼튼한 소재인 벌집모양의 탄소
섬유
로 기체를 감쌌다. 개발자들은 비행 중 발생할 수도 있는 각종 위험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23차례나 테스트했다. 현재 조종사인 스티브 포세트의 시험 비행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한편 연료탑재량은 이번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