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
태양
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말했다. 화석 연료가 점차 고갈되고, 원자력 발전을 줄여나가는 세계적인 추세에서
태양
광 발전이 미래 세대의 대안이 될지 모두가 함께 지켜봐야 할 것이다. 각양각색
태양
전지 총정리
태양
전지의 종류는 현재 개발 중인 것까지 포함해 수십 가지가 넘는다. 각각은 ‘변환효율’ ‘투명성’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인공위성이
태양
전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 뒤 이를 지상으로 보내는 ‘
태양
발전위성’ 등 거대 산업용으로만 연구돼왔다.그런데 최근 등장한 사물인터넷(IoT)이 전자기파방식의 불씨를 다시 지피고 있다. 휴대전화를 충전할 때는 약 1W, IoT는 약 수십mW(밀리와트)의 적은 전력만 있어도 충분하기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있는 한 지하실에 실험 장비를 차려놓고 96세인 지금까지도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태양
열 에너지와 관련된 특허도 두 개 출원했다. 그래도 이번에 광집게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으니, 과거의 억울함은 조금 풀어지지 않았을까. 세계 최고령의 나이로 노벨상을 수상한 애슈킨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다이아몬드가 지각 속에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주로 질소와 붕소)이 들어가야
태양
빛을 다양하게 반사한다. 보통 질소 원자들이 탄소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질소와 공공(빈 공간)의 공유결합을 만들면 다이아몬드가 분홍색이나 붉은색을 띤다. 그런가 하면 노란색이나 갈색 다이아몬드는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스펙터 모듈을 봉쇄해 다른 모듈의 공기까지 새어 나가는 것을 막았다. 스펙터 모듈의
태양
전지판은 우주정거장에 공급하는 전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 사고 때문에 미르의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이후 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르의 전력 공급은 충돌 이전의 70%에 그쳤다 ... ...
[과학뉴스]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
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비슷한 효율인 20%대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얇고 가벼우며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
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송진동 광전소재연구단장은 “얇고 잘 휘는 구조여서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16/j.nanoen.2018.08.02 ... ...
Intro 2. SF 속 우주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싸울 가능성이 크다. 정작 외계인은 지구에 관심도 없을지 모르는데 말이다. 이 좁은
태양
계를 두고 군사 경쟁을 벌이다 자멸한다면 그건 너무나 부끄러운 일이다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금성이 반달 모양인 이유를 이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더스카이라이브(theskylive.com/3dsolarsystem)’를 활용해 보세요. 날짜와 시간에 맞는
태양
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한편, 우주를 더 자세히 보고 싶은 친구들은 스미소니언 우주과학교실 ‘천체투영 프로젝터’도 함께 활용해 보세요. 천체의 모습이 담긴 필름 디스크를 프로젝터에 끼우고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성격을 더욱 확실하게 파악했다. 많은 사람들이 에너지자원공학이라고 하면
태양
광이나 풍력발전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떠올리는데, 공학 프런티어 캠프를 통해 에너지자원공학에서 석유와 천연가스, 그리고 광물자원 개발을 비롯해 지하 공간을 안전하게 활용하는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는 ... ...
[과학뉴스] 명왕성,
태양
계 9번째 행성으로 복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않고 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과거 연구들은 소행성이나 (
태양
계 끝자락에 위치한) 카이퍼벨트 천체들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된 만큼 현재 상황과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doi:10.1016/j.icarus.2018.08.62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