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택
광
빛
광휘
잔물결
세파
차례
뉴스
"
윤
"(으)로 총 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이 가뭄을 버티는 비법 찾았다
2015.09.08
나타났다. 또 유카 단백질을 만들 수 없게 한 식물은 야생종보다도 가뭄에 취약했다.
윤
교수는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작물 중 69%가 가뭄, 냉해 등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피해를 입고 있다”며 “연구결과를 응용해 작물 손실을 줄여 인류의 식량 문제 해결을 돕고 싶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간암 악화시키는 유전자 10개 찾았다
2015.08.31
유전자 가운데 ‘엔유피알1(NUPR1)’이 간암을 악성화시키는 구체적인 원리도 밝혀냈다.
윤
교수는 “엔유피알1을 비롯해 10개 유전자 모두 간암을 진단하는 바이오마커와 치료제 개발 표적이 될 수 있다”며 “현재 나머지 9개 유전자가 간암세포를 악성화시키는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와 엔유피알 ... ...
3D프린터 15대 배치… 기계에 관한 모든 것 ‘상상 제작소’
동아일보
l
2015.08.20
창녕) 등 다양한 천연물을 활용해 항노화·바이오 제품 창업을 육성하자는 것이다. 차병
윤
일본 주부대 응용생물학부 교수(41)도 창원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미더덕과 홍합에 주목해 센터에서 조언을 받으며 건강기능식품 관련 창업 준비를 하고 있다. 차 교수는 “국내에서 미더덕과 홍합은 대부분 ... ...
한국 국제정보올림피아드 종합 1위, 개인 1위 기록
2015.08.04
공동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지난해 대회 성적은 종합 6위였다. 한국 대표단 중
윤
군은 600점 만점으로 개인 1위에 올라 한국이 종합 1위와 함께 개인 1위도 모두 차지했다. 1989년 불가리아에서 처음 열린 국제정보올림피아드는 컴퓨터 분야에 재능을 가진 학생들의 창의적 탐구활동 촉진과 ... ...
암세포 자살 방법 7년만에 찾았다
2015.07.13
크게 늘었으며, 위암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이 단백질이 적을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다.
윤
교수는 “새로운 항암제 저항성 극복을 위한 치료법과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월 16일자에 실렸다. ... ...
기침 환자는 차분한데… 건강한 사람이 더 불안에 떨어
동아일보
l
2015.06.11
제외한 건물 안에는 안 들어갈 겁니다.” 서울 송파구에서 4세 아들과 2세 딸을 키우는
윤
모 씨는 메르스 공포가 확산되면서 최근자녀들을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있다. 의심환자 1명이 집 주변 쇼핑몰에서 식사를 했다는 사실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해 들은 뒤 불안해졌기 때문이다. ... ...
스마트폰 물에 빠졌다구요? 침수(浸水) 라벨 믿지 마세요~
2015.06.02
주변 물체에 붙어 이슬이 맺히는 응축현상이 스마트폰 내부에서도 일어난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바지 주머니에 스마트폰을 넣고 운동할 때, 찜질방에 갔을 때 등 권장 사용조건을 벗어나지 않아도 라벨의 색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라며 “라벨의 색 변화로 침수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 ...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데까지?
2015.05.20
배, 일반 탄소나노튜브 막에 비해 6배 많은 양의 물을 정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윤
교수는 “기존 수처리 막을 오염시키는 미생물 부착 문제도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수처리 분야는 물론 혈액투석 같은 의료 분야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청년드림]
윤
성규 장관의 환경분야 취업 조언
동아일보
l
2015.05.20
준비하지 않으면 원하는 걸 얻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장관은 빠른 진로 선택과 한 우물을 팔 것을 주문했다. “기업에 취업할 것인지, 대학에 남거나 연구기관으로 가 공부를 계속할 것인지, 공무원이 될 것인지, 진로를 가능한 한 빨리 정하세요. 진로를 정했다면 ... ...
버튼만 누르면 투명 유리창이 TV로 변신
2015.04.29
유리창처럼 투명하지만 전기가 흐를 때만 또렷한 영상을 볼 수 있게 만들었다.
윤
교수는 “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밀리초(ms, 1ms는 1000분의 1초)가 채 안 될 만큼 빨라 충분히 상용화가 가능하다”면서 “앞으로 디스플레이를 더욱 선명하게 만드는 일이 목표”라고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