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뉴스
"
이용
"(으)로 총 15,541건 검색되었습니다.
난데없는 땅꺼짐…땅속 빈 공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26
빈 공간이 있는지 조사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유충식 교수는 인공위성이 관측한 영상을
이용
해 땅이 가라앉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어요. 위성이 보낸 두 개 이상의 영상 자료를 비교해 땅의 높낮이를 분석하면 땅이 얼마나 크게 가라앉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한 번에 넓은 지역을 살펴볼 수 ... ...
"잘 읽고 있다, 멍!" 책 읽기 돕는 강아지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서강대 산학협력단, 인터플로우은 앞으로 독서활동 지원 로봇 시제품 및 검증, 촉각센서
이용
사용자 행동 및 의도 파악 기술, 서버 기반 감정분석/표현 시스템 고도화와 터치 기반 행동 패턴에 따른 로봇 제어 통합 등을 통해 확장된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 소장은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을 ... ...
딥러닝 기반 항생제 등 '보스턴 코리아' 신규과제 17건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출혈열 연구센터', 조병관 KAIST 교수와 바이스연구소의 '딥러닝기반 합성생물학을
이용
한 혁신구조 항생제 개발' 등 4개 과제가 선정됐다 4년간 매해 20억원을 지원하는 자유공모형에는 이현숙 서울대 교수와 하버드대 의대의 '노화에 따른 항암 면역 기능 변화에 대한 대사 및 텔로미어 DNA 손상의 ... ...
6년 만에 가장 큰 '소수' 발견…기존보다 1600만 자릿수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사람들이 이처럼 거대 소수 찾기에 도전하는 이유는 거대 소수를 찾을 때 슈퍼컴퓨터를
이용
해야 하는 만큼 컴퓨터의 성능을 시험할 때 유용하기 때문이다. 또 GIMPS는 소수 발견에 상금을 걸고 있다. 새로운 메르센 소수를 발견한 사람에게 무조건 3000달러(약 392만 원)를 준다. 여기에 발견한 메르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중요해졌다.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인공지능'이 물리학의 새로운 영역이고 '빅데이터를
이용
한 기계학습'이 화학의 새로운 연구 방법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경직된 노벨상이 현대 과학을 어지럽게 만들고 있다. 생리의학과 물리학은 그나마 형편이 나은 편이다. 특히 물리학상은 2021년의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 ⑧청소년이 본 우주인 건강문제 해결책…보령 ‘HIS Youth’ 본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23
중·고등부 발표에서는 '향기 치료를
이용
한 우주 수면 질 개선'과 '항균 하이드로젤을
이용
한 드라이 샴푸' 등 실제 우주에서 생활할 때 적용 가능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 참가자들은 단순한 아이디어 제시에 그치지 않고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통해 그 가능성을 입증하려는 노력을 ... ...
담수 조개류는 어떻게 육지로 이동했을까…진화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분자시계는 진화생물학에서 DNA 혹은 단백질 서열상의 단위 시간 당 돌연변이 속도를
이용
해 생물 종 사이에 분화된 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분석 결과 고생대 이후 약 1억9000만년 전 판게아가 북반구와 남반구로 분리되는 대륙이동이 진행되면서 해양에 있던 이매패류가 담수 생태계로 ... ...
"공룡, 날갯짓하며 달렸다"…진주 공룡 발자국 연구 세계적 학술지 표지 장식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보행렬을 남긴 소형 랩터 공룡은 참새 정도 크기였다는 것이다. 오로지 두 다리의 힘만을
이용
해서 1초에 10.5m를 달렸다는 것은 비현실적으로 빠른 속도다. 일반적으로 몸집이 큰 동물이 몸집이 작은 동물보다 절대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이 랩터 공룡의 몸 크기를 ‘치타’ 정도로 가정하고 ... ...
김치 먹어도 살 빠져…인체 임상시험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위해 세포실험을 통한 항비만 활성 기초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비만 유도 동물모델을
이용
해 체지방 31.8%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 비만 개선에 관한 작용기전을 세계 최초로 밝힌 바 있다. 또한 대규모 코호트 자료인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의 13년간의 식사 조사와 신체 계측 데이터를 분석해 ... ...
“노벨상 받은 단백질 구조 예측 AI, 원하는대로 결합하는 단백질에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의 최고 정확도를 조만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알파폴드2는 오픈소스로 누구나 쉽게
이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익성을 중시하는 노벨 재단의 인정을 받았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한다. 백 교수는 21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에서 열린 바이오인공지능 연구단 월례 세미나에서 "2년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