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21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의 손에 ITX가 태어났다
2016.01.18
있습니다. 철도 기술은 태생이 융합연구랍니다.” 한 연구원의 전공은 전기공학이다.
대학
원에서는 시스템제어를 공부했다. 철도연은 처음부터 다양한 전공자를 모집했다. 전공이 다르다보니 저마다 생각이 달라 일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다고 그는 회고했다. “철도연에서 다양한 전공의 ... ...
[김희균 기자의 교육&공감]
대학
개편도 좋지만 근시안은 더 위험
동아일보
l
2016.01.18
뒷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고등교육 경쟁력이 높은 미국이나 영국의
대학
들은 기초 전공의 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융합 교육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 ...
IT 기술로 건강 지키는 ‘융합형’ 물리학자
2016.01.17
● IT기술 새롭게 익히고 의료산업 도전 김 부장은 1984년 서울대 물리학과에 입학해 동
대학
원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밟았다. 학부 시절부터 물리학으로 한 길을 걸어온 셈이다. 이후 1995년 졸업과 동시에 ETRI에 입사했다. 올해 50세가 되는 김 부장은 ETRI에서만 22년째 근무 중이다. 지금은 ... ...
[책의 향기]도시의 숨통을 틔우는 비정형의 공간 ‘파빌리온’
동아일보
l
2016.01.16
, 키오스크(kiosk·간이 매점), 누정(樓亭)을 뒤죽박죽 언급한 구성은 상당히 혼란스럽다.
대학
강의실에서 받아 읽던 프린트 교재를 연상시키는 딱딱한 문장도 조금은 아쉽다. 하지만 책의 그런 짜임을 파빌리온의 자유로운 비정형을 이해하는 도구로 여길 수도 있다. ‘폴리’의 다른 뜻은 ... ...
핵 보폭 넓히는 북한… “영변 경수로 가동 임박”
동아일보
l
2016.01.16
건설 작업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14일 미국에서 나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
대학
원(SAIS) 산하 한미연구소가 운영하는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핵실험 이후인 11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 영변 핵시설에 건설하고 있는 실험용 경수로 공사가 진전돼 가동을 ... ...
“미래 암호 연구 안 하면 산업계 혼란 불 보듯 뻔해”
과학동아
l
2016.01.14
계획을 발표하고 전세계 암호학자들의 참여를 요청할 예정이다.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
대학
원 교수(전 청와대 안보특보)는 “에드워드 스노든이 미국의 전세계적인 정보 수집을 고발한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NSA는 이미 RSA 등의 암호체계에서도 정보를 빼낼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 ...
장인정신으로 과학 완성하는 천생 ‘공학자’
2016.01.14
우주공학과는 다소 다른 길을 걸어 왔다. 현재 그의 전문분야는 금속 구조재 코팅이다.
대학
졸업 후 삼성전자를 거쳐 현재 재료연구소에 입사한 것은 2000년. 그 이후 한 직장에서 16년 째 근무하고 있는 셈이다. 김 실장이 지닌 ‘공학자‘로서의 자부심은 대화를 이어가는 내내 드러났다. 그는 ... ...
“최상위권대 자연계-의대 가려면 수학 5.9%- 과탐 4.1%內 들어야”
동아일보
l
2016.01.14
고려대는 수능 2개 영역이 2등급 이내거나 등급 합이 5 이내여야 한다. 의학계열은
대학
마다 최저학력 기준이 다양하지만 보통 3개 영역 등급 합이 4 이내다. 자연계열 최상위권과 의학계열 변별력의 핵심은 과탐이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국어와 수학 변별력이 낮아 1등급 ... ...
“내 자식은 무조건 이과”… 학부모 쏠림에 科高 ‘뜨고’ 外高 ‘지고’
동아일보
l
2016.01.14
미스매치(불일치)는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14∼2024년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인문계열은 10만1000명, 사회계열은 21만7000명의 인력이 초과 공급된다. 그러나 공학계열은 21만5000명이 부족하다. 배영찬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문·이과 미스매치를 ...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
2016.01.13
연구 인프라 구축이었다. 출연연이 연구 인프라를 만들면 이를 이용해 연구를 하는 것은
대학
교수들의 몫이었다. 이런 현실 속에서도 경 연구원은 출연연이 천문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날을 기다렸다. 또 미래 천문학의 연구 분야는 은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연구원에서 같은 ... ...
이전
863
864
865
866
867
868
869
870
8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