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선
어류
고기
살코기
육류
식육
fish
d라이브러리
"
물고기
"(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배열됐다 하지만 그로부터 2천년 이상 지난 지금은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춘분점이
물고기
자리로 옮겨져 있어 태양의 실제 위치가 당시와 약 1달 정도 차이가 난다 또 12궁에 포함되지 않은 뱀주인자리로도 황도가 지나가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면 태양은 13개 별자리를 통과한다특정 장소의 '동서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장거리 탐지능력을 높이기 위해 선체 뒤에 늘어뜨려 예인하는 TAS(Towed Array Sonar)와
물고기
의 옆선처럼 잠수함의 측면에 소나를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월'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무늬가 있는 동물은 다른 동물과 섞이지 않고 잘 구분된다. 또 화려한 줄무늬를 가진
물고기
일수록 짝짓기에 유리했을 것이다. 줄무늬나 점무늬는 밀림에서 적의 눈에 잘 띄지 않게 하는 보호색으로도 기여했다. 만약 인간도 오랫동안 초원에서 생활해왔다면 몸에 얼룩덜룩한 줄무늬나 점무늬를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수치의 하나어류를 급성독물질이 함유된 배수의 희석액 중에 일정기간 사육하여 그곳의
물고기
의 50%가 살아 남을 수 있는 배수의 농도를 나타낸다 보통 48시간 TLM의 1/10의 농도면 어류는 안전하다고 간주된다상수의 소독에 사용되고 있는 염소소독법은 비용이 저렴하고 잔류효과가 있는 반면에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생겨 비만세포나 호염기구에서 대량의 히스타민을유리시키기 때문이다 부패한
물고기
등에는 이 기능을 증강시키는 상승인자로서 아그마틴, 콜린, 트리메틸아민옥사이드, 카다베린 등이 함유된다 히스타민작용은 항히스타민제에 의해길항적으로 억제된다소리를 입체음향으로 듣고 동시에 영상도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알맞기 때문에 미국각지를 비롯해 세계에 이식되고 있다 수생곤충 갑각류 및 작은
물고기
를 잡아먹는 육식어(肉食魚)이다물 또는 용액속에 녹아 있는 분자상태의 산소 물속에서 생활하는 어패류나 호기성 미생물은 이것에 의해 산화분해되기 때문에 용존산소의 부족은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할 뿐 ... ...
돌이 흘러 강이 된 만어산 종석너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산비탈 아래로 끝없이 펼쳐진다. 만어산 기슭에 돌무더기를 이룬 이 암석들은 마치
물고기
떼가 수면을 향해 머리를 쳐들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만어석(萬魚石)이라 부른다. 이를 지형학 용어로는 암괴류(block stream)라고 하는데 우리말로는 돌이 강을 이룬 모양이라 하여 ‘돌강’이라고 한다 ... ...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홈즈와 다무러는 무시무시한 악어의 숲을 지나 날카로운 가시 덩굴을 통과하고 식인
물고기
피라냐의 강을 건너 결국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편지가 들어 있는 금고까지 찾아왔다. 이제 마지막 관문만이 남았다. 금고는 번호를 맞추어야만 열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금고에는 숫자들이 적혀 있었고 그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모두 다르지만 이렇게 생명체가 생기는 순간이 모두 같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지요. 작은
물고기
조차 시작하는 순간에는 사람과 똑같은 소중한 생명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세상으로 나오다아기가 세상에 나올 준비가 되면 아기 스스로가 태어날 날을 정합니다. 바로 태아의 폐가 숨을 ... ...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자신이 속한 군집의 크기를 계속 확인할 수 있다.MIT 미디어랩이 만든 ‘큰
물고기
-작은
물고기
’(Big Fish-Little Fish)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포식자와 피식자가 함께 사는 어류생태계에 대한 이 프로그램은 교실이나 실외에서 진행할 수 있다. 학생들은 포식자와 피식자의 역학관계, 과잉어획,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