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처음이었던 거죠. 그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2016년 12월 17일, 헨리 하임리히는 96세로 세상을 떠났답니다. 용어정리* 기도 : 호흡할 때 공기가 지나는 통로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났다’ 제작팀은 그리운 사람의 목소리를 딥러닝으로 재현했어. 7살에 병을 앓다 세상을 떠난 나연이의 가족이 가상현실을 통해 나연이를 다시 만날 수 있게 한 거야. 나연이가 남긴 짧은 영상 속 음성을 기본 데이터로 삼고 부족한 데이터는 나연이의 목소리와 비슷한 또래 아이들의 목소리로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은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 덕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36년 오일러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식’으로 평가 받는 오일러 항등식(eiπ+1=0)을 발표하면서 π를 넣었고, 이를 통해 π가 학계에서 널리 쓰이게 됐습니다.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수십~수백 번째 자릿수까지 구한 다양한 연구 ... ...
- 코로나19로 바뀐 세상, 코로나19가 바꿀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3호
- 2020년 3월 11일, 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팬데믹’으로 지정했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의 일상이 된 지도 벌써 1년. 그동안 코로나19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꿨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알아봅시다. 학교는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았다 질병관리청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짝수 치환과 홀수 치환 양의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정수들을 모아놓은 집합을 Xn이라고 하자. 이때 Xn의 원소들을 차례대로 나열하는 방법을 ‘치환(permutation)’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치환은 Xn에서 Xn으로 가는 일대일 대응으로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함수 σ:Xn→Xn로도 이해할 수 ... ...
- [한페이지 뉴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 소리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류가 구석기 시대에 악기로 사용한 나팔고둥(Charonia lampas)의 음색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선사시대예술연구센터와 프랑스 툴루즈대 등 공동연구팀은 1931년 프랑스 피레네산맥의 마르술라스 동굴에서 발견된 나팔고둥의 연대와 내부 구조, 소리를 분석한 결과를 국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데우는 기계입니다. 전자레인지를 ‘전자기파 뿜는 기계’로 활용해서 전자기파, 즉 세상에서 가장 빠르다는 ‘빛’의 속도를 재볼 겁니다. (가슴이 웅장해진다…!)파동의 속도는 진동수(주파수)와 파장의 곱과 같습니다. 전자기파도 파동이니 이 공식으로 속도를 구할 수 있죠. 전자레인지 속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데 있다. 그러니까 ‘공정’이란 세상이 어떠하다는 사실적 주장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세상이 마땅히 어떠해야 한다는 규범적 주장과 관련됨을 알 수 있다.공정성이 규범적 개념이라고 인정해도 여전히 남는 문제가 있다. 규범적 개념은 하나의 층위로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만약 여성 ... ...
- [2021 소미더뭐니] 우승자에 소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클 수 있지만, 배양육이 우리의 일상 속에 빠르게 자리잡길 바라요. Q 배양육을 통해 세상이 달라질까요?배양육이 상용화되면 2040년 사육되는 소는 지금의 절반으로 줄 거예요. 소들은 넓은 들판에서 지내고, 인간은 대체육을 먹으며 공존하겠지요. 배양육은 기존 축산업이 가지고 있는 환경 오염,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최저 기온이 영하 18.6℃로 20년 만에 가장 낮았어요. 심지어 갑작스런 폭설이 내려 온 세상이 꽁꽁 얼어 버렸지요.대체 왜 이렇게 추웠던 걸까요? 첫 번째 원인은 ‘음의 북극진동’ 때문이에요. 북극은 1년 내내 춥지만, 북극 대기 상층에서 ‘제트기류*’가 찬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줘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