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조합수학의 ‘4색 정리’나 ‘g-가설’같은 어려운 문제가 위상수학과 관련 있다는 걸 지도교수님을 통해 알게 됐어요. 이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답니다. 예를 들어 임의의 3차원 다면체 위에 어떤 성질을 만족하는 원환체 위상 공간을 찾을 수 있으면 4색 정리가 풀리거든요. 이렇게 여러 분야의 ... ...
- [과학뉴스] 화석 찾고 싶으면 ‘화석 가능성 지도’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화석 발굴은 고난의 연속이다. 과학자의 직관과 경험 그리고 운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화석이 묻혀 있을 만한 땅을 찾아주는 수학적 모델이 개발됐다.호주 애들레이드대와 독일 킬대 공동연구팀은 과거 기후 모델과 지금까지 발굴된 화석의 연대를 이용해 최근 5만 년 사이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충 짐작이 간다. 식당A는 국내 대학원 이공계연구실 대부분의 모습이다. 교수의 지도 아래 연구경력이 짧은 석·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이 연구를 나눠서 한다. 실험장비 관리나, 행정처리 등 자잘한 잡무도 대학원생이 떠안는다.식당B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일부 연구실 모습이다. 연구경험만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것이다. 안 좋은 기억이 남았던 펜로즈 대신, 세드릭 스미스라는 유전학자가 UCL에서 그를 지도했다. 이렇게 런던의 두 대학에 소속된 채로 해밀턴은 3년에 걸쳐 필생의 과업과 씨름했다.해밀턴이 겪었던 푸대접은 어떻게 보면 그리 놀랍지 않다. 당시는 2차 대전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나치의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쓰여 있는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저승으로 여행을 떠난다.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저승 ...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가 아니라서 3, 3.1 혹은 3.14를 사용합니다. 왜 그럴까요?일본에서는 원의 넓이를 지도하기 전에 모눈종이 위에 도형을 보여주며 이미 배운 도형의 넓이를 구하게 합니다. 자연스럽게 원의 넓이를 어떻게 구하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것입니다. 다각형의 넓이는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원의 넓이는 쉽게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똑같은 나선 그림이 있는 거예요. 전 한 번도 수학을 고려한 적이 없었고 수학을 잘 알지도 못했는데, 제 예술 세계가 수학과 맞닿아 있었던 거지요.”김 작가는 이후 수학 서적을 보면서 예술적 영감을 얻었다. 그리고 2008년 위상수학을 만나 김 작가만의 예술 세계를 꽃피우고 있다.“앞으로 제 ...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항상성과 몸의 조절, 감각 기관의 종류와 역할 5. 수업 지도 순서안경을 사용하고 있는 학생을 조사하거나, 하루에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TV 등을 보는 시간 등을 조사하는 질문을 통해 시력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 어떤 종류가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보세요~!”기자들은 교수님의 설명대로 끈을 느슨하게 늘어뜨렸어요. 중앙이 가장 낮아지도록 플라스틱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는 것도 잊지 않았지요. 500mL캔 하나에 무너져 내린 팽팽한 현수교와 달리, 끈을 느슨하게 늘어뜨린 현수교는 500mL 콜라캔 5개에도 끄떡없이 버텼답니다.추운 날씨에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목소리도 있다. 홀로세가 시작된 지 1만1000년밖에 되지 않았고, 급격한 변화가 시작된 지도 얼마 지나지 않았으므로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또 홀로세 자체가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했으므로 인류세를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남 책임연구원은 “홀로세가 너무 짧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