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과 가장 닮은 핵융합장치, 프랑스가 먼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인공태양으로 불리며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핵융합 기술 개발을 놓고 과학기술 선진국들의 경쟁이 한창이다. 핵융합장치는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자가 충돌해 무거운 원자로 합쳐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태양의 원리를 모방해 설계하는 것이다. 세계 각국은 ‘땅 위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퀀텀닷’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3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퀀텀닷의 실제 모습. - 동아사이언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히는 ‘퀀텀닷(양자점, Quantum Dot)’의 효율을 큰 폭으로 높일 방법을 개발했다. 배완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하이브리드센터 연구원팀은 퀀텀닷의 에너지 효율을 최대 100% ... ...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광센서’ 전력 소모량 확 줄였다
2016.11.24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광센서’의 에너지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박성주 교수(사진)팀은 압력감지장치, 심장박동확인장치 등에 자주 사용되는 ‘광센서’의 에너지 효율을 8배 이상 개선 ... ...
스마트폰 폭발 위험 사라진다… 신개념 배터리 개발
2016.11.16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폭발 위험이 없는 배터리 제작 방법을 찾아냈다. 구종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사진)팀은 ‘리튬’ 계열 배터리에 들어가는 액체전해질을 겔(gel) 형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리튬 계열 배터리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대부분의 소형 전자기 ... ...
해저 6000m 걷는 탐사로봇, 최종실험 현장 가보니
2016.11.01
게나 가재처럼 기어 다닐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보행형 심해탐사로봇 ‘크랩스터6000’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제공 깊이 6000m의 해저에서 게나 가재처럼 기어 다닐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보행형 심해탐사로봇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심해 탐사용 로봇 ‘크랩스터6000’ ... ...
저장 용량 50% 더 늘린 대용량 배터리 나온다
2016.10.24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기 저장 용량을 기존보다 1.5배 늘릴 수 있는 새로운 이차전지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전력난의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실용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경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융합연구단장(사진) 팀은 ‘프러시안 블 ... ...
태양전지 두 장 겹쳐보니… 효율 20% 올랐다
2016.10.23
국제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이미지 - 스탠퍼드대 제공 국제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불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을 높일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재료과학과 미카엘 맥기히 교수팀은 영국 옥스퍼드대와 공동으로 페로브 ... ...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10.07
GIB 제공 세계 핵융합 학계가 30년간 풀지 못했던 난제에 대해 국내 과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내놨다. 박현거 UNIST 자연과학부 교수와 윤건수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은 자기장에서 생겨난 난류가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성 현상’을 억제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9월 8일 밝혔다 ... ...
[2016 노벨 생리의학상] ‘오토파지’ 규명한 日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
2016.10.03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사진)가 선정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3일(현지 시간) 세포 내에서 불필요해진 구성물질을 분해해 세포의 영양분을 삼는 ‘오토파지(Autophagy·자가포식)’ 현상에 관여하 ... ...
세계최강 核폭탄은 1000km 떨어진 핀란드 유리창 깬다
2016.09.30
세계에서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핵무기로 꼽히는 러시아 '차르봄바'의 실험 장면. - 유튜브 화면캡처 제공 강력한 폭음과 섬광. 하늘 끝까지 집어삼킬 기세로 솟구치는 버섯구름. 영화 속에 등장하는 핵무기는 상상을 초월하는 위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최근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으로 핵에 대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