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뉴스
"
일도
"(으)로 총 52,92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새들은 왜 새벽에 울까…자리 싸움과 먹이 정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조류.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새들이 새벽에 더 활발하게 지저귀는 이유는 바람이나 온도 같은 환경 요인이 아닌 영역, 먹잇감 정보와 같은 사회적 요인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류의 울음 습성을 환경적 요인에서 찾았던 기존 이론과 상반되는 ... ...
바이러스서 새 단백질 4208개 발견…"백신 개발 단서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인간 세포에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에서 새로운 단백질들이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감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서 수천 개의 새로운 단백질들이 발견됐다. 바이러스에 들어있는 단백질은 백신 표적이 된다는 점에서 새 백신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라 와인가 ... ...
美 학계 '뮤온 충돌기' 제시…예산 삭감에 실현가능성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우주의 기본입자인 뮤온을 충돌시키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보다 적은 비용으로 지금껏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입자와 현상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학계에서 차세대 입자물리학 연구 장치인 '뮤온 충돌기' 건설 필요성이 제시됐다. ... ...
암생존자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코로나19 전후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왼쪽부터) 신현영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혁종 서울대 의생명과학과 연구원, 박상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암 생존자의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과 초미세먼지 노출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지만 팬데믹 기 ... ...
의대교수협 "의대 정원 감축 검토하는 장관 원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의정 갈등 이후 의대생 없이 가운만 덩그러니 놓여 있는 한 의과대학 강의실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가 의대 정원 감축 검토, 환자 및 학생 중심 정책 등을 펼칠 수 있는 교육부 및 보건복지부 장관을 원한다고 밝혔다. 의대교수협은 13일 성명서를 통해 의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급 전보 △원천기술과장 이강우 (6월 16일 자) ...
돼지서 키우는 인간세포 유래 '키메라 장기', 장기이식 새 희망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돼지에서 인간 장기를 키우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 숨지는 환자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전자 교정 동물 장기 이식이 이뤄지고 있지만 면역 거부 반응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동물 장기와 사람 장기의 유사성을 높인 ... ...
AI 도입 국내 R&D기업 45.6%로 절반 안돼…"재정 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인공지능(AI)을 도입해 활용하는 국내 연구개발(R&D) 기업이 전체의 45.6%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을 도입해 활용하는 국내 연구개발(R&D) 기업이 전체의 45.6%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AI를 활용 중인 기업 대다수는 AI 도입의 투자 대비 효과가 높다고 평 ... ...
16일까지 전국 비…덥고 습한 날씨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 또는 소나기가 내리는 지난 5월 서울 광장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16일까지 전국에 비가 계속될 전망이다. 13일 이후 한반도에 습윤한 공기가 유입돼 14, 15일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 13일 기상청에 따르면 비가 13일 밤 남부 ... ...
위험한 산 비탈면 안전관리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개발한 비탈면 안전관리용 스마트센서. 경북 구미시 수점동 급경사지 현장에 설치됐다. 건설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산사태, 낙석 위험이 큰 비탈면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센서와 데이터 수집장치를 개발했다. 기존 문제로 지목된 다양한 제조사 센서와의 호환 문제를 해결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